농진청, 증식 씨수소로 활용
일제강점기 이후 사라졌던 우리 고유의 희귀 백색 한우가 체세포 복제 기술을 통해 다시 태어났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씨수소로 쓰이던 백한우의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체세포복제기술로 복원된 백한우는 지난 7일 오후 2시20분께 제왕절개 수술을 통해 34㎏으로 태어났으며 앞으로 백한우 증식을 위한 씨수소로 활용될 예정이다.
백색 한우는 유전적으로 피부, 털, 눈 등의 멜라닌 색소가 결핍되거나 결여돼 생기는 알비노 한우로 털 색깔 자체가 하얀 외국 품종 ‘샤로레’와는 다르다. 조선시대 문헌인 ‘조선우마의방’(朝鮮牛馬醫方)에도 한우는 흰색과 검은색, 갈색, 적갈색, 황색, 청색 등 다양한 모색과 무늬가 존재한다고 기록돼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인 1938년 한우 심사표준에서 ‘한우의 모색을 적색으로 한다’는 규정을 내세워 털 색을 통일시키면서 백색 한우와 흑우, 칡소가 거의 사라진 상태다.
농진청은 백색 한우의 증식과 함께 백색 한우가 지니고 있는 품종적 특성을 밝혀내는 연구를 계속하고 천연기념물 등재도 추진할 예정이다.
장원경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장은 “첨단 생명공학 기술을 통해 몇 마리 남지 않은 백색 한우 복제가 가능했다”며 “다양한 한우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이들 유전자원의 차별적 특성을 구명해나가는 연구로 우리 가축 유전자원의 가치를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