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곳 중 12곳 지난해보다 부실채권 비율 증가 2곳은 고정이하여신비율 30% 뛰어넘어 ‘부실 우려’
경기도내 3개 지점을 두고 있는 신라저축은행의 영업정지 예고로 저축은행의 부실문제가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도내 본점을 둔 저축은행 상당수의 부실채권 비율이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금융감독위원회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도내에 본점을 두고 영업 중인 저축은행은 한국투자저축, SC저축, 남양저축은행(자본규모가 큰 순서) 등 모두 18곳으로 영업지점만 78곳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인수ㆍ합병 등의 문제로 데이터가 집계되지 않은 예한솔, 신한, 한화저축은행 3곳을 제외한 12곳의 지난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건전성이 나쁜 것으로 분류된 여신 비율을 뜻하는 용어로 사실상 부실채권을 의미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위험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금융당국 기준에 따르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8%이하를 유지할 때 양호한 것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도내 저축은행의 경우 이 수치를 만족하고 있는 곳은 단 3곳에 불과했다. 오히려 전국 저축은행 평균(19.85%)을 상회하고 있는 곳이 7곳에 달하며 30%를 넘는 곳도 2곳이나 됐다.
이 같은 배경에는 지난 2010년 저축은행 부실화 문제를 가져왔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요인이 여전히 작용하고 있는데다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뱅크런’이 대거 발생하면서 여ㆍ수신이 크게 악화된 원인으로 풀이된다. 실제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집계한 지난해 도내 저축은행 여ㆍ수신 현황을 보면 각각 4조3천억원, 4조7천625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부실채권 비율이 30%이상 되는 도내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침체로 사실상 회수가 불가능한 부실채권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자체 경매를 통해 채권을 회수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경기가 좋지 않아 힘든 실정이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도 “시중은행이나 제2금융에 비해 자금사정이 열악해 미세한 시장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며 “부실채권을 낮추고 자기자본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최대한 고객이 안심하고 돈을 맡기거나 빌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대ㆍ내외 경제전망이 불투명한데다 시중은행의 사정 역시 좋지 않아 부실금융기관 정리에 따른 추가적인 구조조정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감독국 관계자는 “아직까지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다”며 “다만 모니터링을 통해 저축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을 비롯 부실채권 등의 건전성을 지속해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