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만명 인구목표… 1도심 6부도심 개발

수원시 ‘2030년 도시기본계획’ 시민공청회 개최
생태친환경·지식기반융복합산업권역 등 5개 권역 개발구상 관심

수원시가 ‘2030년 수원도시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오는 2030년 시 목표인구를 132만명으로 설정했다.

시는 27일 시청 대강당에서 시민공청회를 갖고 5개 권역을 개발기본 구상으로 시 전역을 1도심 6부도심으로 개발하는 ‘2030수원 도시기본계획(안)’을 제시했다.

이날 시민공청회에는 염태영 시장과 노영관 시의장을 비롯, 시 관계자와 시민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기초조사와 1년여에 걸친 시민계획단 운영을 통해 시 전역을 1도심 6부도심으로 개발하는 계획(안)을 마련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도시공간구조는 광교산 등 생태친환경권역과 수원화성 등 역사문화관광산업권역, ITㆍNT 등 지식기반융복합산업권역, 농업과 R&D 등 친환경산업권역, 자동차 부품, BT 등 신성장동력산업권역 등 5개권역으로 구성된다. 개발축은 동서간 균형발전을 위해 수원역~화성~시청을 중심으로 한 도심과 호매실, 오목천, 수원비행장, 정자동, 광교, 영통 등 6개 부도심으로 제안됐다.

도심과 부도심은 도심~광교, 영통 등 성장주축과 오목천, 도심~정자동, 호매실, 비행장 등 3개 성장부축, 부도심간 연계축 등 3개 연계축으로 설정돼 개발된다. 계획인구는 2010년 110만명에서 2015년 123만명, 2020년 127만명, 2025년 129만명, 2030년 132만명으로 제시됐다. 토지이용계획안을 보면 시 전역(121.139㎢)의 49.26%인 59.683㎢가 주거용지 49.297㎢, 상업용지 6.265㎢, 공업용지 4.121㎢로

활용된다.

이 가운데 시가화용지와 시가화예정용지는 각각 52.762㎢와 6.921㎢이다.

농촌진흥청과 원예특작과학원, 농업과학원, 축산과학원 등 종전부지 종전부지와 영통구 매탄동, 원천동 일원 공업용지(준공업용지 포함), 권선구 고색동 수원산업단지 주변 산업단지 재배치 등도 도시계획안에 반영됐다.

수인선(인천~수원) 고색역, 오목천역, 신수원선(인덕원~수원), 분당선 연장선, 신분당선 연장선상의 역세권 등 미개발역세권 지역도 개발지역에 포함됐다.

광역, 외부, 도심 등 3개 순환도로망 구축, 수원역과 운동장간 노면전차 구축 등의 계획도 반영돼 단계별로 추진된다.

시 관계자는 “‘2030년 수원도시기본계획(안)을 내달께 경기도에 제출, 승인요청할 계획”이라며 “경기도의 심의가 순조롭게 이어지면 9월께에는 계획(안)이 승인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