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대의 지성으로 이름을 날렸던 율곡 이이, 우계 성혼, 구봉 송익필. 이들이 나눈 마음을 엿볼 수 있는 책이 출간됐다. 세 선비가 주고받은 서찰을 담은 서간첩을 쉽게 풀어쓴 ‘삼현수간:율곡 우계 구봉의 산촌 편지’(한국고전번역원 刊)다.
율곡은 과거에서 9번이나 장원을 할 정도로 천재로 명성이 자자했고, 우계 역시 학문으로 당대에 손꼽히는 인물이었다. 구봉 역시 아버지의 죄업으로 세상에서 그 뜻을 펼칠 수 없는 불운아였음에도 학문이 대단해 양반가에서 자제들을 맡길 정도였다고.
이 세 선비는 서찰을 주고 받으며 우정을 키웠다. 특히 이들의 편지는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부터 당대 현안, 학문전 논변 등 개인적인 것부터 사회적인 분야까지 그 주제가 다양해 혼란스러웠던 16세기 조선시대의 역사 기록을 보는 것과 같다.
서간첩인 삼현수간에만 남아있는 16편은 세 사람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2004년 보물로 지정됐다. 현재 삼성미술관 리움이 소장하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연수원을 졸업하고 여주에서 동서양 고전 재해석에 빠져 있는 저자 장주식은 이번 책을 출간하기 위해 삼현수간을 뼈대로 세 사람의 문집을 뒤져 빠진 이야기를 채웠다.
편지로 안부를 묻고 근심을 나누며 엄정한 충고를 마다하지 않았던 이들의 이야기는 참된 사귐의 방법론과 가치를 알려준다. 또 편지글이라는 특성이 당초 유연한데다 주고 받은 서찰을 지금 이곳에서 나누는 대화로 구성해 정치와 처세 등 다소 어려운 이야기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세 지성이 조선시대에 나눈 대화임에도 지방분권 시대를 만들어가는 현대에 참고할 만한 글도 있다.
“임금은 멀리 있지만 고을 수령은 가까이 있으니, 백성의 삶은 수령에게 매여 있습니다. 수령에게도 역시 임금은 멀고 관찰사는 가까이 있습니다. 관찰사가 수령들을 다스려 주지 않으면 누가 하겠습니까? 개혁을 하자면 수령들이 꺼리는 건 당연한데도, 수령들이 꺼린다고 자리를 내놓아서야 어디 힘 있는 관찰사라 할 수 있겠습니까?”
이처럼 폭넓은 주제의 깊이 있는 글 뿐만 아니라 세 선비가 쓴 글씨 역시 수준급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저자는 ‘논어의 발견’과 제2회 어린이문학상을 수상한 ‘그리운 매화향기’, 제29회 한국어린이도서상을 받은 ‘오줌에 잠긴 산’ 등을 펴냈다. 값 1만원
류설아기자 rsa119@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