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작년보다 예산확대 편성… 유관기관들 적극 지원 예고
중소 수출업체의 FTA 활용을 위해 관계 기관에서 적극 지원을 예고하면서 경기지역 수출기업의 FTA 판로가 활짝 열릴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15일 한-미 FTA 발효 1주년을 맞았지만 여전히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많고 올해 상반기에 터키, 콜롬비아와 맺은 FTA가 발효되는 등 본격 FTA시대에 접어 들어 기업의 수출 효과를 극대화 한다는 취지다.
경기도는 올해 FTA 관련 사업 예산을 지난해보다 7천500만원 늘린 7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설명회와 사업을 확대했다고 19일 밝혔다. 특히 지난해 단 2회 실시했던 원산지 사후검증 시스템 교육을 올해부터는 분기별로 시행해 교육을 강화한다.
미국 등에서 원산지 허위기재 등 FTA를 이용한 불공정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원산지 사후검증 시스템 대비에 빨간 불이 켜져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FTA 초보 기업을 위한 컨설팅 사업도 지난해보다 50개사 추가한 250개사로 늘려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한다. 또 올해부터 ‘FTA 수출 선도기업육성사업’을 시행해 중소수출업체들의 현지 마케팅과 시장조사를 도울 계획이다.
한국무역협회 경기본부는 전문 관세사를 배치해 원산지증명서 작성, 사후 검증 등 FTA 활용을 위한 컨설팅 지원에 집중한다. trade SOS(무역애로컨설팅센터) 자문위원도 지난해 4명에서 올해 9명으로 늘려 중소기업체의 현장 애로사항을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중소기업 수출을 돕는 종합상사도 조만간 출범한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삼성전자, 외환은행 등과 손을 잡고 ‘중소기업 전담 종합상사’를 만들어 한미FTA 활용과 중소기업의 미국 시장 수출을 도울 계획이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