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경제 양성화'위한 화폐개혁, 원화가치 1천분의 1로?

13일 정부의 화폐 개혁설에 경제계와 금융계가 술렁이고 있다.

'화폐 개혁'은 박근혜 대통령이 여러차례 언급한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금융실명제 실시가 가져온 파급력 이상으로 다가올 것으로 예측된다.

이날 한 매체는 기획재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국내외의 화폐개혁사례 등을 수집했고 화폐개혁을 위한 절차 등에 대한 기초적인 검토를 마친 상태"라고 보도했다.

정부 부처 안팎에서 나오는 '화폐개혁 설'은 1달러에 1천원대인 원화 가치를 1천분의 1로 떨어뜨린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화폐개혁에는 한국은행 등이 찬성 입장을 보였지만 기획재정부 등에서 심각한 물가 상승 등을 우려해 반대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경제계 역시 술렁였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갑작스러운 화폐개혁은 지하 자금을 도피시키게 돼 물가가 급상승하고 경제를 얼어붙게 만드는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기재부는"화폐개혁에 대해 전혀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kgib@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