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 조작 의혹으로 출범 이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는 프로농구가 대대적인 제도 개혁에 돌입한다.
한선교 KBL 총재는 12일 서울 강남구 KBL센터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승부 조작 사태를 불러일으키는데 영향을 준 드래프트, 자유계약선수(FA) 등 각종 제도를 뜯어 고치고 선수 협의회 창설, 심판 ·코칭 아카데미 운영 등을 통해 프로농구가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프로농구는 ‘져주기 의혹’을 낳는 근원지라 할 수 있는 신인 드래프트 제도를 손질한다는 계획이다.
현행 신인 드래프트제는 정규리그 7~10위 팀이 1순위 지명 확률을 23.5%씩 나눠 갖고 3~6위 팀은 1.5%씩 갖도록 하고 있다. 때문에 일부 팀들 사이에서 우수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고의로 경기에서 지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불거져 왔다.
이에 KBL은 지난달 이사회를 통해 2014년 드래프트부터 7~10위 팀에 15%, 3~6위 팀에 10%를 주는 방식으로 변경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한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다시 이사회를 열어 3~10위 구단에 똑같은 확률을 주는 방안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KBL은 ‘노예제도’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현행 FA 제도를 바꾸는 한편 은퇴 선수들에 대한 생활대책도 함께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한 총재는 “FA 영입이 어려운 현행 제도를 보다 유연하게 바꿀 것”이라며 “투자를 하는 구단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다른 종목의 사례를 보면 은퇴선수들이 브로커가 돼 후배들에게 접근하는 경우가 많았다”라며 “은퇴 선수들에 대한 생활 보장도 승부 조작 시도를 막는 방안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그는 “선수협의회를 구성하고 선수들의 연봉 1%씩을 모아 기금을 조성해 은퇴 선수들의 생활자금을 마련할 것”이라며 “농구 교실을 차릴 수 있는 자본을 융자해주는 한편 심판, 코칭 아카데미를 운영해 은퇴 후 진로를 찾는데 도움을 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