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관문서 무너져버린 인천대 조직개편

국립대 험난한 길… ‘인천대 조직개편’ 좌초 위기

“조직 비대ㆍ유연성 실종” 외부이사 반대 이사회 통과 무산

소위원회 처리도 불투명… ‘장기표류 먹구름’ 현실로

국립 인천대의 첫 조직개편이 논란을 빚고(본보 151722일 자 1면) 있는 가운데 조직개편(안)이 최종 관문인 이사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더욱이 교육과학기술부와 외부 이사 등이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소위원회 통과도 불투명해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7일 인천대 등에 따르면 지난 26일 제2차 이사회를 열고 행정부서 조직개편(안)에 대해 밤늦게까지 심의했지만, 이사들 간 의견이 엇갈리면서 내부 이사 2명과 외부 이사 2명으로 구성된 소위원회로 안건을 넘겼다. 대신 이사회는 소위원회에 모든 권한을 넘겨 소위에서 4명의 이사가 만장일치로 안건을 통과시키면 이사회도 자동으로 통과된다.

그러나 이번 인천대의 조직개편을 두고 외부 이사들이 강한 반대 뜻을 보이고 있어 소위의 전원 합의가 쉽지 않다.

한 이사는 “집행부가 짧은 시간에 졸속으로 추진해 이사회가 검토할 시간이 부족했다”면서 “특히 팀제로 바꾸면 사실상 조직이 늘어나 비대해지고, 팀 간 경계 등으로 조직의 유연성만 떨어지는 등 부작용이 크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이사는 ‘현재 재직 중인 대학도 팀제로 개편했는데 부작용이 상당했다. 이상적인 조직이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운영상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반대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교과부도 “법인화 초기이고 대학 재정의 어려움을 감안할 때 조직 확대를 통한 보직 늘리기보다는, 법인화에 따른 대학의 비전 등 전략업무 부서만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라며 인천대 조직개편안에 대해 반대의견을 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외부 이사들의 반대 때문에 이사회 통과가 미뤄진 만큼, 조직개편이 내년으로 미뤄지는 등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당장 28일 극적으로 소위에서 조직개편이 통과되더라도, 다음 날인 29일 단 하루 사이에 직제변경에 따른 인사발령과 각종 시설 구축을 모두 끝마치는 게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강행되면 또다시 인천대의 졸속행정이 도마 위에 오를 수밖에 없다.

인천대 관계자는 “이사들 모두 조직개편에 대한 취지는 이해하는 등 공감대는 형성했다”며 “국립대로 새롭게 출발할 수 있도록 조직개편이 통과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