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금융사기인 파밍 등의 신종 보이스 피싱 피해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시민단체가 금융당국에 조속한 대처를 촉구하고 나섰다. 13일 금융소비자원(이하 금소원)은 ‘파밍’,‘스미싱’ 등 전자금융사기에 대처하기 위한 범정부차원의 대책팀을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파밍(Pharming)은 진짜와 똑같이 만들어 둔 가짜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모르게 금융정보를 훔쳐가는 신종 인터넷 금융사기이고, 스미싱(Smishing)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신종 휴대전화 소액결제 사기를 말한다.
금소원은 “전자금융사기에 대한 금융당국과 금융회사들의 안일한 대처가 소비자 피해를 확대시킨다”고 질타했다. 금소원은 또 “새로운 유형의 전자금융사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금융사들이 조속히 대책을 세워야 함에도 그 책임을 금융소비자들에게만 돌리고 있다”며 “금융사기 피해가 계속 양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금소원은 “선제적이고 효과적인 대책이 없으면 금융사고 발생 이후에 이에 대처하기까지 상당시간이 지체되므로 때를 놓치게 된다”며 ‘범정부 차원 테스크포스(TF)팀’ 구성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