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화의 전초기기 ‘문화원’을 말한다

문화원연합회 道지회, ‘경기도 문화원에서 노올자’ 출간

지방문화원은 문화역량의 밑거름이자 추동력이다. 특히 1천200만 거대 인구가 사는 경기도내 문화원들은 지난 50여년 동안 향토자산의 축적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했다. 게다가 문화예술 공공기관으로서는 탄탄한 조직력을 자랑한다. 그러나 최근 지방문화원은 새로운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대한민국 문화 예술계를 이끄는 추동력이 변하고 있기 때문.

경기도내 문화원이 ‘주민 속으로 파고드는’ 현장을 생생하게 담은 ‘경기도 문화원에서 노올자’(경기정판사刊)가 출간됐다.

‘경기도 문화원에서 노올자’는 한국문화원연합회 경기도지회(지회장 정상종ㆍ이하 도지회)과 경기일보가 공동기획해 7개월 동안 연재한 기획기사를 책으로 엮은 것.

책은 크게 △역사의 중심에 서다 △사람, 삶. 그것이 문화를 만든다 △마을 공동체 회복의 길목에 서다 3개 영역별로 구분돼 경기도내 30개 문화원의 이색 프로그램과 도지회 역점사업 등이 일목요연하게 담겨 있다.

우선 120그램의 하모니카 연주로 아시아를 평정한 포천문화원 ‘실버악단’, 인형극으로 제2의 인생을 사는 광명문화원 ‘광명향토실버인형극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원이 어르신들의 새로운 문화아지트로 변신한 모습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파주 율곡문화제, 김포 중봉문화원, 이천 설봉문화제, 광주 남한산성문화제, 안양 안양만안문화제, 연천 미수문화제 등 각 지역마다 특색있는 문화제 현장을 취재기자가 직접 달려가 축제현장과 뒷이야기 등을 재미있게 그려내 흥미를 더한다.

또 시흥문화원의 ‘청소년 독립운동 역사탐험’, 동두천문화원 ‘어린이 향토사 장원경시대회’, 과천문화원 ‘청소년사이버기자단-효담보담’ 등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독자적인 프로그램도 눈길을 끈다.

이처럼 도내 문화원들은 백화점식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보다 정밀하고 이색적이고 지역색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지역주민 껴안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문화를 가장 잘 접할 수 있는 지방문화원에 대해 주민들이 위치조차 제대로 모르는 상황을 극복하고 문화원이 경기도 문화발전의 추동력임을 다시 한번 입증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정상종 지회장은 “한 국가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경쟁력을 갖으려고 무엇보다 지역문화가 지역민들에게 뿌리내리는 것은 물론 내용적으로도 독창적이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도내 지방문화원은 전초기지 역할을 묵묵하게 담당해 왔고 그들의 숨은 노력과 열정을 책으로 엮은 건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책은 지방문화원이 그동안 지역문화 발전을 위해 많은 구실을 했으며 이를 통해 지역의 문화적 구심점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점검하고 문화원 사람들의 인간적인 애로사항과 그들의 현실을 세상에 알리는 기회이기도 하다.

값1만5천원. 구입문의 (031)250-3333

강현숙기자 mom1209@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