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발연, 고령사회 연계 마을 만들기 정책 방향 보고서
복지 사각지대 원천 차단
수혜ㆍ공급자 역할 부여 등
5대 고령화 시책 방향 제시
인천시가 노인과 연계되는 공동체 마을 만들기 등 고령사회에 대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발전연구원은 4일 ‘고령사회와 연계한 마을 만들기 정책 방향’ 연구결과 보고서를 통해 고령화 시대를 맞아 인천시 차원의 공동체 마을 만들기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노인들이 마을 주체로 참여해 현안을 찾아 논의하고, 스스로 해결하는 방식인 공동체 마을 만들기를 통해 노인에게 역할을 부여하면서 노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풀어나가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노인 연계 마을 조성이 활성화되면 저소득층과 홀로 사는 노인 등 특정 계층에 초점을 맞춘 노인정책의 한계로 발생하는 수혜자 중복과 사각지대 발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고령화 연계 마을 만들기 주요 정책으로는 수혜자인 동시에 공급자로서의 역할 부여, 특정계층에서 일반계층으로 확대, 노인전문 교육 프로그램 사전준비, 노인정책 전달체계 개선, 복합적 접근 등 5가지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
또 의료생협 및 마을단위 주치의 지원, 노인의 소득 창출과 연계한 마을기업 육성, 노인을 위한 공동생활주택 도입, 세대복합형 커뮤니티 시설 등 노인 참여 공간과 시설 확충 등도 함께 제안했다.
이왕기 책임연구위원은 “공동체 마을 만들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기초자치단체별로 추진 중인 마을 만들기 사업에 인천시 차원의 정책 참여가 시급하다”며 “이차적으로는 공동체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고, 공동체 구성원 중 고령계층이 풍부한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적용하고 이를 확산시키는 과정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