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_ 정치논리 잠재운 경제논리] 지긋지긋한 ‘경기도 역차별’ 한 풀었다

인프라·시장성·흥행성 3박자 갖춘 ‘준비된 야구도시’ 불구
또 균형발전 망령에 한때 긴장… KT와 손잡고 ‘정면돌파’

수원-KT가 ‘꿈의 10구단’ 유치는 ‘수도권 vs 비수도권’이라는 정치논리에 맞선 승리로 평가되고 있다.

그동안 경기도는 수도권 역차별로 인해 행정수도,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등 주요 사업과 정책이 정치논리에 휘말려 불이익을 당하는 사례가 많은터라 이번 10구단 수원 유치도 마지막까지 안심할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경기도와 수원은 물론 도내 31개 시군이 한목소리를 낸 끝에 10구단 유치에 성공했다.대기업인 KT의 적극적인 지원도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특히 프로야구 10구단 수원 유치는 경제, 스포츠 흥행성 논리가 수도권 규제의 정치논리를 극복한 좋은 사례를 남겼다.

전북은 유치경쟁 기간 내내 ‘수원마저 10구단을 유치하면 수도권에 5개 팀이 들어서게 된다’고 강조하며 균형발전을 위해 전북에 10구단이 유치돼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하지만 엄연한 것은 서울에 3개 팀, 인천에 1개 팀이 있을 뿐 전국에서 가장 많은 1천250만의 인구를 보유한 경기도에는 단 1개의 프로팀도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수도권 야구팀 집중 논리는 한 마디로 수도권 대 비수도권 논리 때문에 각 분야에서 역차별을 당하고 있는 경기도에 대한 억지였다.

그동안 경기도와 수원시에게는 참여정부 이후 10년동안 박탈과 역차별의 역사였다.

경기도에서만 52개의 공공기관이 빠져 나갔다. 수원에서 이전해가는 기관도 10여개에 달하며 이들 기관이 모두 전북으로 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프로야구 10구단 유치 과정에서 전북은 균형발전과 수도권 대 비수도권 논리 만을 앞세워 KBO를 겨냥했고, 이 같은 전북의 주장은 꽤 설득력을 보이는 듯 하면서 10구단 유치과정에서 막판 이상 기류가 감지되기도 했다.

이에 경기일보는 올초부터 ‘수도권’이라는 단어를 쓰지 말자고 제안했었다. 그래야만 전북과의 프로야구 10구단 유치전이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그 주장대로 10구단 유치전에서 수도권이 아닌 경기도를 얘기했다. 기존 구단 가운데 4팀이 수도권이라는 현실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경기도는 수도권이 아니라 경기도일 뿐’이라는 우리의 주장이 통했기 때문이다. 2천500만 수도권 주민의 권리가 아니라 1천250만 경기도민의 권리를 강조한 것이 마침내 10구단 유치라는 승리를 일궈냈다.

1천250만 도민 모두의 승리다. 전북의 광역 바람에 당당히 맞선 수원시장의 당찬 승부가 일궈낸 승리고, 당리당략을 떠나 맏형다운 든든함으로 뒤를 지켜준 경기도지사의 노련함이 만들어낸 승리다.

더불어 경기도와 수원시는 지난해 연말 재정성이 탄탄한 재계 순위 11위 KT를 10구단 유치 파트너로 만난 것도 큰 행운이다.

KT는 이를 입증이라도 하듯 KBO에 제출한 가입신청서에 야구발전기금 200억원을 써내는 통큰 베팅으로, 80억원을 적은 전북 부영을 제치는 데 결정적인 한방을 날렸다.

KT는 프로농구, 골프, 사격, 프로게임, 하키 등 30년간 스포츠단을 운영한 노하우를 축적, 프로야구단 운영능력을 인정받았다.

글 _ 황선학 기자 2hwangp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