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주 著 '왕들의 부부싸움'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란 말이 있다.

하지만 부부의 갈등을 조명한 방송 ‘사랑과 전쟁’에서는 그렇지 않다. 질투, 오해, 무관심 등 다양한 이유로 충돌해 한 가족이 공중분해 된다. 과장됐을지언정 허구는 아니다. 해당 방송에 사연을 보내는 시청자와 이를 공감하며 바라보는 수많은 사람들이 이를 방증한다.

부부싸움이 한 가족을 해체시켰다면, 최고 권력자와 그의 반려자 사이의 갈등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까.

‘발칙한 조선인물실록’과 ‘학교에서 가르쳐주지않는 조선왕조실록’ 등 대중역사서로 인기를 모은 이성주 작가의 ‘(조선의 운명을 결정한)왕들의 부부싸움’(애플북스 刊)은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내밀한 부부생활을 들여다 봤다.

아무리 일거수일투족 기록 대상인 왕과 왕비였다지만, 지극히 사적인 남녀관계로서의 일까지 적었을까.

저자는 기우였단다.

당대의 기록자들이 ‘조선왕조실록’에 왕의 부부생활을 가감 없이 적었고 예민한 문제에도 충분한 힌트와 다음 상황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를 남겼다는 것이다.

이씨는 그들 역시 남편과 아내로서의 삶을 살았고 남들이 보기에 ‘막장’이라 불릴 만한 상황을 노출할 정도로 인간적 감정과 갈등을 겪었다고 풀어낸다.

태종, 세종, 문종, 성종, 중종, 선조, 숙종 등 조선의 일곱 왕과 여인들의 부부싸움과 권력 투쟁 등의 수많은 기록과 사례를 나열했다.

이 중 속 좁은 남편(왕)의 뻔한 거짓말과 이기심이 드러나고, 질투에 눈이 멀거나 남편의 불성실한 모습에 눈물 흘리는 여린 아내(왕비)도 있다. 여느 평범한 부부처럼 싸움 뒤에 냉각기를 가졌고 심한 경우 이혼을 결심하고 조정위원회(각 시대의 조정 신료들)를 찾기도 했다.

남편(왕)은 ‘아내와 못살겠다’고 하소연하고, 대소신료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싫어도 참고 살아야 한다’며 임금을 달랬다.

저자는 다만, 최고권력자 부부의 싸움은 국가 단위의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되거나 거꾸로 정치적 쟁점이 부부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등 ‘스케일’이 달랐다는 차이점만 존재한다고 말한다.

최고 권력가로서 왕비를 쫓아내고 처가를 몰살시키는 등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하거나, 조강지처를 잊지 못해 재혼하거나 끝까지 아내의 생명만은 지켜내는 등 힘겹게 사랑하기도 했다.

실록에 근거한 조선의 역사를 왕의 부부싸움을 통해 읽으며 역사적 사건의 배경을 이해하고 권력자의 인간적 면모를 발견하는 색다른 재미의 대중역사서다. 값 1만5천800원.

류설아기자 rsa119@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