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역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불확실한 대내ㆍ외 변수로 경기 성장세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위험부담이 큰 상품보다는 ‘중위험 중수익’형 상품이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KDB대우증권과 삼성증권, 우리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현대증권은 지난해 투자자의 관심을 받았던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상품, 그리고 헤지펀드 전략을 추구하는 대안투자 상품을 추천했다.
▲올해도 대세, ETF투자 봇물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자산배분이 가능한 ETF 대한 투자자 수요는 올해 더욱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KDB대우증권은 자체 개발한 고유 모델을 활용해 시장 상황에 따라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을 스스로 교체할 수 있는 자산배분형 ETF랩 ‘폴리원(Folione)’을 추천했다.
이 상품은 시장 상승기에는 ‘KODEX200’(주식ETF) 등과 같은 위험자산의 비중을 늘려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하락기에는 ‘KOSEF국고채’(채권 ETF) 등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교체해 안정적 수익을 추구한다.
ETF를 통해 개별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함으로써 생기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소액으로도 전문가에게 자산배분관리를 받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한국투자증권은 국내 최초로 중국 내국인 전용 주식시장인 중국본토 A주식에 투자하는 ETF 상품 ‘KINDEX중국본토CSI300’을 꼽았다.
이 상품은 지난해 상장 보름 만에 일일 평균 거래량 30만주, 수익률 10%를 달성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특히 장내 매도를 통해 원할 때 언제든지 자금 회수가 가능하며 A주 공모펀드보다 보수가 저렴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CSI300지수는 유럽 재정위기, 중국 경제 부진 등의 경기침체로 장단기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최근 중국 증시가 추세적 반등 국면에 진입했다”며 “ETF에 대한 투자 열기와 맞물려 올해도 좋은 성과로 투자자들에게 보답할 것이다”고 말했다.
▲채권ㆍ헤지 투자로 절대수익 추구
극심한 시장 변동성 속에서 ‘시중금리+알파(α)’의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은 올해뿐 아니라 향후 금융시장을 이끌어 나가는 경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은 적극적인 헤지 전략을 통해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다이나믹헷지+ 자문형 랩’을 추천했다.
이 상품은 상승장이 예상되면 90% 이상을 주식형에 과감히 투자하고, 하락장에서는 헤지전략을 활용해 인버스ETF를 적극 매수하는 등 공수 전환에 능한 것이 특징이다.
삼성증권은 주식매수와 차입매도를 동시에 진행하는 긴 쇼트전략을 활용한 ‘트러스톤 다이나믹 코리아 50 펀드’를 유망 상품으로 선정했다.
주식혼합형으로 자산의 50% 이상은 주식을 편입하지만 20% 이내는 주식을 차입매도, 40% 이내는 주가지수선물을 매도해 주가 하락 시에도 적극적으로 수익률을 방어할 수 있다.
현대증권은 안정적 수익에 절세 효과까지 노린 ‘물가연동국채’를 소개했다.
원금과 이자를 물가에 연동시켜 실질 구매력을 보존해 주는데다 유동성이 떨어지는 다른 채권들과는 달리 만기 이전에 매도할 때도 쉽게 매매할 수 있어 주식처럼 매매차익을 누릴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현대증권 관계자는 “유럽위기로 채권투자에 돈이 몰리며 물가연동국채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며 “지난해 개정세법에 따르면 2015년 1월 1일 이후 발행 물가연동국채부터 물가 상승분에도 과세할 예정이라 현재 판매하는 물가연동국채가 과세 부분에서 더 유리하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