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들 "신용카드 무이자할부 중단, 소비자만 피해"

신용카드사의 일방적인 무이자 할부 서비스 중단은 소비자에게 피해를 고스란히 떠넘기는 조치라며 소비자단체들이 비판하고 나섰다.

정부와 카드사, 대형 가맹점이 타협점을 모색하는 데 소홀했고, 그 결과 애꿎은 소비자만 피해를 봤다는 지적이다.

9일 금융소비자연맹과 금융소비자원 등 소비자단체는 최근 발생한 대형 가맹점 카드 무이자 할부 서비스 중단 문제점을 지적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금융소비자연맹은 소비자 상거래의 60%가 이용하는 등 주요 결제 수단이 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소비자에게 수수료 조정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을 전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카드사가 대형 가맹점의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전면 중단한 것은 우월적 지위를 이용, 소비자 권익을 무시하는 처사로 이를 방관하는 금융 당국 역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소비자원 역시 성명서를 통해 “기존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6개월에서 1년간 유지해 시장 혼란과 소비자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며 “당국이 법 개정을 하면서 서민이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가 폐지되는 데 따른 피해를 고려하지 않은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논란을 단순 제도 변경 초기 진통으로 인식한다면 이는 당국이 문제의 본질을 희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무이자 할부는 대형 가맹점의 요구로 카드사가 자의적으로 마케팅 차원에서 제공해 왔지만, 지난달 법 개정 후 카드사의 비용 분담 요구를 대형 가맹점이 거부하면서 전격 중단됐다. KB국민카드와 현대카드, 삼성카드 등 전 카드사가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에 당국은 가맹점이 합당한 비용을 분담해야 한다는 개정 법 취지를 고려해 그간 일상화한 무이자 할부는 점차 축소되는 게 맞다며 뒷짐만 지고 있어 소비자 피해는 가중될 전망이다.

당국 관계자는 “카드 무이자 할부 서비스 축소는 가맹점 수수료 체계가 35년 만에 개편돼 정상화해가는 마찰적 과정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