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일자리와 복지 등 민생안정과 가학광산동굴 개발을 통해 100만 관광시대에 도전하겠습니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올 한해 광명시의 역점 추진사항으로 이같이 강조했다.
양 시장은 “갈등의 한 복판에서 고민하는 시민들과 함께 더불어 상생하는 광명의 새지평을 열고, 더욱 겸손한 마음으로 시민에게 다가가 민생 현장에서 희망을 발견하고 시민을 위한 길에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올해 역점추진 사항은
-일자리·복지 등 민생안정에 둘 것이다. 예산을 대폭 확대해 7천800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실직 또는 은퇴한 50~60세대를 위한 ‘5060베이비부머 일자리사업’을 추진, 올해 10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청년구직자들에게 좋은 일자리와 취업교육을 함께하는 ‘광명청년 잡스타트 사업’도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시행할 것이다.
광명뉴타운 사업은 주민의견 수렴으로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 사회적갈등 비용을 최소화할 것이다. 보육도시와 여성친화도시로서 어린이와 가족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
▲광명역세권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 추진 계획은
-지난해 12월 코스트코 개점과 함께 올 상반기 코스트코 본사까지 이전해 오면 KTX광명역 주변 개발의 촉매제 역할은 물론 연간 13억원 이상의 안정적 세수확충이 가능해진다. 글로벌 기업 이케아도 2014년 말 개장 목표로 진행 중이며, 세계적인 디자이너 김영세 이노디자인그룹 회장이 주도하는 광명국제디자인클러스터도 KTX광명역세권에 조성될 예정이다.
역세권에 전에 없는 활기가 돌고 있다. 광명역세권 부지에 업무·상업·주거 기능이 복합된 다기능 테마형 복합단지와 광명국제디자인클러스터를 조성, 인프라가 잘 갖춰지게 되면 명실상부 수도권서남부지역의 새로운 거점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코스트코와 이케아 같은 대형유통기업을 유치, 지역상인들의 피해가 우려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은
-광명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상인들을 보호하고 지역경제에 상생과 공존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지자체가 해야 할 중요한 역할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려는 우리시와 중소상인들이 함께 소통함으로써 전통시장·골목상권 보호와 상생 대타협을 이뤄내 시대적 화두인 상생과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골목 상권과 대형 유통업체 간의 충돌이 불거지고 있지만 광명시에서는 코스트코 영업시간 문제에 대해 중소상인 측과 합의하는 등 전통시장·골목상권의 대타협의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신년사에서 광명시가 가학광산동굴 개발을 통해 100만 관광시대에 도전하겠다고 밝혔는데, 앞으로의 구상은.
-세계적인 테마파크로 조성하기 위해 2011년 초부터 관광자원 개발을 추진했다. 그 결과 가학광산동굴을 개방한 지 1년 만에 전국에서 12만명이 방문하는 등 전국적인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경기도 및 경기관광공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40억원의 재정지원과 행정지원을 얻어냈다. 또한 경기도 투자유치 중점지원 대상 사업으로 선정, 동굴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올해 가학광산동굴에 전시관과 공연장 등을 새롭게 조성하고 근대문화유산체험, 3D영화상영, 예술공연, 빛과 체험활동 등 수준높은 문화·예술·레저·관광자원을 제공할 것이다.
가학광산동굴과 광명8경을 잇는 시티투어 운영, 코레일과 연계된 관광상품개발, 광명시 전체 자전거길 조성 등 100만 관광도시 도전을 위해 문화·관광·레저 인프라도 확충해 나갈 것이다.
▲교육도시로서 위상을 강화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한다면
-민선5기에 들어서 광명시의 대표브랜드가 된 혁신교육과 평생교육 등 한발 앞선 교육정책들로 최고의 교육혁신도시 위상을 확고히 다져가고 있다.
더불어 소하동에는 초·중·고가 함께 하는 혁신학교 벨트가 형성됐다. 현재 8개의 혁신학교가 경기도교육청에 의해 지정, 혁신학교 벨트를 축으로 시 전체로 혁신학교가 확산되도록 노력하겠다. 보편적 교육복지 확대를 위해 유치원부터 중학교까지 친환경 무상급식을 완성하겠다.
광명=김병화기자 bh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