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여론조사_당선인 새정부에 거는 기대]'朴 당선인 대통령직 수행 잘할 것' 77.1%

본보-한길리서치 경기도-인천시 여론조사, 경제활성화 기대 높아

경기도민과 인천시민들은 새 정부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보이면서도 올해에도 경기활성화에 대해선 부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또 이명박 정부의 지난 5년간에 대해선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잘못했다’고 평가했다.

차기 지방선거를 1년 6개월여 앞둔 현재 지방자치단체장과 광역 의원에 대한 교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게 제시됐으며, 김문수 경기지사와 송영길 인천시장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장기화된 경기침체 속에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감 높아

경기ㆍ인천 주민들은 나아지지 않는 경기불황으로 인해 경기회복 가능성을 낮게 내다봤다.

올해 경제적 상황에 대한 전망에 대해 응답자의 44.0%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도 28.5%에 달했다. 반면 ‘나아질 것’이라고 답한 경우는 26.8%에 그쳤다.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답변이 높았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여성 응답자의 절반인 50.3%가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변했으며, 24.8%는 ‘나빠질 것’이라고 밝혔다.

연령에 따른 견해차도 나타났다. 50대 이상에선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38.5%였지만, 30대에선 18.6%에 그쳤다. 19세 이상 20대와 40대도 20.9%, 21.3%에 불과했다.

하지만 박근혜 당선인의 향후 대통령직 수행에 대해선 ‘잘할 것’이라는 답변이 77.1%로 나타나 새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특히, 50대 이상 유권자에선 90%가 ‘잘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30대와 40대에선 70.5%, 73.8%씩으로 조사됐고, 19세 이상 20대에선 64.5%가 박 당선인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했다.

■박근혜 당선인의 승리 원인과 향후 중점 과제는

지난 달 19일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후보의 당선 원인으로 ‘박근혜 후보에 대한 신뢰와 리더쉽’이라는 답변이 32.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종북세력으로 인한 안보 불안 때문 ’이라는 응답이 22.1%로 뒤를 이었다. ‘박근혜 후보의 정책이나 공약’은 21.0%였으며, ‘친노무현 후보인 문재인 후보가 싫어서’라는 응답도 10.9%에 달했다.

이 같은 조사결과에 비춰 볼 때, 이번 대선에서 야권 단일화 등 진보진영의 통합 움직임에 대해 위기감을 느낀 보수층의 표 쏠림 현상이 승패를 좌우했다는 분석이 가능해 진다.

한편, 박근혜 새 정부에서 유권자들이 바라는 국정과제로는 민생경제를 통한 중산층 확대가 가장 높은 응답을 받았다. 장기화된 경기침체 탓에 성(姓)ㆍ연령ㆍ학력ㆍ직업 등을 떠나 경기회복이 새 정부의 가장 큰 과제로 인식되고 있었다.

특히, 자영업자 중 61.4%가 민생 경제 회복이 중점 국정과제라고 답했으며, 40대의 66.8%도 이같이 응답했다. 정작 대선에서 후보들마다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던 정당과 정치개혁, 복지 서비스 확대는 각각 10.7%씩에 그쳤다.

■현 정부의 주요 이슈 중 새 정부가 계승해야할 분야는

지난 5년간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선 10명 중 6명 이상이 부정적 평가를 내놓았다. 응답자의 63.8%는 ‘잘못했다’고 밝혔으며 이중 ‘매우 잘못했다’는 답변이 28.6%를 차지했다. 반변 잘한다는 답변은 33.9%였으며 ‘아주 잘했다’는 응답은 3.5%에 그쳤다.

특히, 연령별 분석 결과, 40대가 가장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며 응답자의 80.3%가 ‘잘못했다’고 밝혔다. 또 30대와 40대에선 ‘아주 잘못했다’가 36.5%, 42.0%씩에 달했다.

이런 가운데 현 정부가 강력한 드라이브를 걸었던 주요 사업 중 박근혜 새 정부가 계승해야할 부분과 관련, 대북규제 강화 및 한미공조 체제가 23.3%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독도 문제에 대한 강경대응 21.1%, 녹색성장정책과 환경 외교 20.7%, 4대강 사업 마무리 18.9%,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지방이전 9.8% 등이었다.

이중 남성에선 대북규제 강화 및 한미공조 체제가 28.6%로 가장 높았지만, 여성에선 녹색성장 정책과 환경외교가 24.5%에 달했다.

■새정부가 해결해야할 경인지역 현안은

경기도민은 부동산 경기 활성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입장을 보인 가운데 지역별로 시각차를 보였다.

경기남부권과 북부권 모두 부동산 경기활성화를 1번 과제로 손꼽았지만, 경기북부권 응답자의 14.9%는 경기북부발전 방안을 새정부가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경기 남부권에선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이어 복지예산 정부비중 확대가 14.8%에 달했다.

또 여성응답자에선 21.1%가 복지예산의 정부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답변해 남성보다 복지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방증했다.

인천의 경우,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지원과 구도심 도시재생화 국비지원 확대가 우선 과제로 선택된 가운데 19세 이상 20대 응답자(58명)의 69.5%는 구도심 도시재생화 지원을 선택했다. 또 대졸이상 응답자(108명)의 40.1%도 같은 입장이었다.

■경기도와 인천의 새해 역점 추진 분야는

경기와 인천 모두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이 가장 높았다.

경기도의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를 역점 시책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답변이 성(姓)ㆍ연령ㆍ학력ㆍ지역 등 대부분의 부분에서 가장 높았다.

하지만, 인천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함께 재정 위기에 몰린 인천시의 현실을 고려, 재정을 건실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특히, 19세 이상 20대와 40대에선 각각 40.0%, 44.6%가 재정 건실화를 최우선 정책으로 손꼽았다. 또 전문대졸 이상과 대졸 이상에서도 각각 59.9%, 34.5%씩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직업별 분석에서도 반영돼 자영업과 생산직, 사무관리직, 주부, 학생층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보다 인천시의 재정 건실화가 더 시급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지역경제 활성화가 높은 직업은 농임어업과 무직에 한정됐으며, 무직과 기타 업종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가 43.0%였다.

강해인ㆍ김동식기자ds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