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목소리 내려면 투표율 꼴찌 오명 벗어야

[선택 2012] (하) 인천의 정치력 회복이 관건

19대 총선 때 유권자 절반이 투표 포기

시민단체 정치권 감시ㆍ견제기능 더 강화돼야

인천은 오랫동안 투표율 꼴찌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다.

인천이 중앙정부나 정치권으로부터 외면을 받는 가장 큰 이유로 꼽히는 것도 정치적 무관심이다.

1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9대 총선 인천지역 투표율은 51.4%로 전국 17개 시·도(세종시 포함) 가운데 최하위였다.

220만8천 명 유권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07만3천여 명이 투표권을 포기한 것이다.

지난 17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인천지역은 투표율 60.3%로 전국 꼴찌, 제18대 총선에서는 42.5%로 광주를 제외하고는 꼴찌였다.

특히 20대 투표율은 전국 평균이 45.0%, 서울 평균이 64.1%인데 비해 인천은 38.5%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인천이 제 목소리를 내고 정치력을 회복하려면 투표율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인천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대선에서 인천지역 투표율이 70%~75%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유권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9.9%가 투표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것을 기초로 예측한 것이다. 시 선관위는 인천 투표율이 70%를 넘어야만 최하위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천지역 시민단체의 정치권 감시·견제기능이 더 강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지역 진보, 보수, 사회, 노동,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협의회’의 경우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국비 지원 여부 및 지방재정 확충 방안 등을 놓고 대선을 공략해 공약 및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있지만, ‘재정’이라는 제한한 화두에만 집중하고 있다.

결국, 대선이 끝나고 새 정부가 꾸려진 뒤에도 인천지역 현안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거나 국정과제에서 배제되지 않게 하려면 지역사회에서 여론을 만들고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용택 새얼문화재단 이사장은 “인천은 이번 대선에서 여야로부터 공히 홀대받고 있다”며 “남을 탓할 게 아니라 항상 투표율이 제일 아래인 우리 스스로 자성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