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12] (상) 대선서도 홀대 받는 인천 ‘평창 수준’ AG지원…입 다문 대선 후보들
주경기장 신축비용 30% 안팎서 국비 지원 약속뿐
183만명 서명 ‘재정위기 비상대책協’ 간담회도 외면
‘속빈강정 대선용 립서비스’에 대항 인천의 힘 보여줘야
제18대 대통령선거는 인천에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선거로 꼽힌다. 인천시는 대선정국을 활용해 인천의 현안을 지역공약화하고 해결방안을 찾겠다는 구상이지만, 대선 후보들은 겨우 2~3번 얼굴을 내비치는 수준으로 인천을 홀대하고 있다. 지역공약도 ‘속 빈 강정’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본보는 2회에 걸쳐 대선정국 속에서 인천이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편집자 주
인천시는 대선에 사활을 걸었지만 정작 대선의 화두 속에 인천은 없다는 자조 섞인 비판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경우 210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 주경기장 신축비용 880억원 국비 지원 및 인천AG 지원법 개정안 조속 처리,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인천도시철도 2호선 조기 개통, 제3 연륙교 조기 건설 등의 공약을 내걸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공약에도 주경기장 신축비용 1천470억원 국비 지원 및 성공 개최, 서해평화협력지대 구축,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제3 연륙교 조기 착공 등이 포함돼 있다.
하지만, 여·야 모두 인천AG 지원법 개정안 통과에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 대선 후보들도 주경기장 신축비용 30% 안팎에서만 국비지원을 약속하고 있을 뿐 평창 동계올림픽 수준의 국비지원 요구에는 입을 다문다.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가 인천시민 183만명의 서명을 받았지만, 박 후보는 서구 주경기장 방문 당시에도 범시민협의회와의 간담회를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접근도 차단했다.
UN GCF 사무국 유치 및 후속조치도 어느새 인천만의 관심사로 전락했다. 인천이 정부 몫의 비전과 핵심과제까지 발굴해 제시할 정도로 주객이 전도됐다.
대선후보 공약에도 송도 환경도시 개발, 마이스(MICE) 사업 집중 육성 등 ‘딱’ 기본구상만 포함돼 있을 뿐이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및 통행료 폐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경인고속도로 통행료를 폐지해도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제물포터널을 건설할 경우 서울 왕복 통행료는 5천422원으로 3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어 현실적으로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인천의 대표적인 시민모임이자 역대 대선 후보들이 모두 다녀간 ‘새얼아침대화’조차 박 후보가 초청을 거절하면서 외면받았다.
이와 관련, 신규철 범시민협의회 홍보위원장은 “대선 후보들이 인천AG 지원법 처리를 약속했지만, 신뢰하기 어려운 대선용 립서비스”라며 “인천을 무시하고는 절대로 대통령에 당선될 수 없음을 인천시민들이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