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피크타임 피해 야간생산… 점심시간도 30분 앞당겨 전력 의무감축 사업장 ‘사투’

내년 3천㎾이상 ‘강제 절전’ 대부분 자동차 등 생산업체
“물량 감소 말고는 방법없어” 납품 차질 불가피해 ‘고심’

정부가 전기 사용량 3천㎾ 이상 기업들에 내년 1~2월 강제 절전 방침을 발표하면서 경기도내 기업들이 절전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다.

12일 지식경제부 등에 따르면 동계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리면서 내년 1월7일부터 2월22일까지 계약전력 3천㎾ 이상 전력을 사용하는 도내 1천197개소의 대규모 전력 소비 사업장은 이달 평균 전력 사용량의 3~10%를 줄이는 의무감축을 시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일부 업체에서는 점심시간에는 모두 소등을 하거나 난방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절전을 하고 있지만, 일부 생산 기업들은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강제 절전 방침에 포함되는 사업장 상당수가 자동차 부품업계ㆍ반도체ㆍ전자부품 등의 중견기업 생산 현장들로 전력 절감이 생산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안성에 있는 S전자부품업계는 전력 감축을 시행하는 내년부터 전력 피크타임을 피해서 주간 인력을 야간으로 돌려 생산공장을 가동하는 방법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그러나 야간에 추가되는 인건비 등을 제외하고도 생산물량 자체를 줄이지 않으면 달리 전력을 감축할 방법이 없어 고심하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사무실 내에서 절전에 힘쓴다 해도 생산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2~3%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생산 전력을 절감해야 하는데 물량을 맞추려면 생산 공장을 돌릴 수밖에 없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5천㎾의 계약전력을 사용하는 평택시의 M자동차 부품 조립회사는 점심시간을 30분 앞당겨 현장 생산 라인 가동을 30분 단축하는 방법을 계획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정부의 시책을 따라야 하지만 지난해에도 정부의 의무감축 시행에 따르다 보니 오히려 부품 납품에 차질이 생겨 완성업체에서 결과적으로 100억대의 손실을 봤다”며 “차라리 하루 3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게 훨씬 이익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라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한국전력 관계자는 “전력 감축을 이행하지 않은 기업은 과태료 부과와 함께 기업 명단이 공개돼 기업 이미지가 추락할 수 있다”며 “온 국민이 절감에 나선다는 차원에서 기업들도에너지 절감 대책에 적극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답변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