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 건설경기 악화 ‘대출금 연체’ 눈덩이

연체율 지난해 1% → 현재 9% 폭증 ‘골머리’

건설사 법정관리 여파… 추심도 맘대로 못해

수원의 A 상호금융은 대출금 연체율이 지난해 1%에서 현재 9%로 무려 8%p나 늘었다.

총 대출 중 중도금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40%에 육박하는 가운데 대출을 진행한 건설사 두 곳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입주예정자들이 분양대금을 반환하라며 대출금을 갚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2010년에 진행한 대출로 불과 2년여 만에 연체율이 10배 가까이 늘었다.

이에 따라 대출금 연체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지만 채무부존재 소송 탓에 추심도 못하는 처지다.

관계자 H씨는 “건설 경기 악화에 따라 대출 연체로 인한 상호금융의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12월 결산을 앞두고 연체대출을 줄이기 위해 전화, 방문 등 갖가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좀처럼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B 상호금융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연체율이 지난해보다 2%p 늘어난 5%를 기록했으며 C 상호금융은 올 들어 연체율이 6%에 이름에 따라 직원들이 직접 나서 대출자들의 부동산 거래까지 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파장이 금융권에까지 번지면서 중도금 대출을 취급한 도내 상호금융기관이 연체대출 증가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28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농ㆍ수협 단위조합, 산림조합,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의 연체대출 잔액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로 2010년 9조3천억원, 2011년 9조7천억원에서 지난 7월 말 현재 10조7천억원을 기록, 2년 만에 2조1천억원이 늘었다.

아울러 연체자산 증가로 경영상태가 나빠지면서 총자산순이익률은 지난해 상반기 0.76%에서 올 상반기 0.48%로 급락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상호금융의 부실에 대비해 영업 범위를 제한하는 등의 대출 억제를 추진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상호금융의 정체성은 지역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관계 영업”이라며 “규모를 키우는 데 치중하지 말고 적정 규모를 유지해 부실 우려를 잠재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선호·성보경기자 bocccu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