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늘리고 전세버스 투입

등하교시간 탄력 조정 등 정부, 비상수송대책 마련

전국 버스업계가 22일부터 버스 운행을 중단키로 함에 따라 정부가 지하철 운행을 늘리고 택시 부제를 해제키로 하는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정부는 또한 공공기관 임직원 출근시간과 초·중·고교 학생들의 등하교시간도 탄력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정부는 21일 총리 주재로 관계장관 대책회의를 개최, 전국 시내버스와 시외버스, 마을버스 4만8천대의 운행중단과 법안 처리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지방자치단체와 관계부처에 협조를 요청, 버스 운행중단에 대비한 비상 수송대책 마련에 나섰다.

먼저 정부는 각 지자체에 지하철 운행횟수를 늘리는 한편 개통 시간을 1시간 앞당기고 전세버스 투입 등 대체 교통수단을 마련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 566대 등 전국에서 7천600여대의 전세버스가 시내 주요 구간에 투입된다.

시외버스 운행 중단에 대비해서는 고속버스 예비 차 99대, 전세버스 100대가 추가로 운행되고 임시 일반열차 8대, 48량이 주요 노선에 투입된다.

공공기관 임직원 출근시간과 초·중·고교 학생들의 등하교시간도 지역 실정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은 부득이하게 늦을 경우 1시간 이내에는 지각처리가 되지 않도록 했으며, 전국 17개 시ㆍ도 교육청은 이날 오후 지역학교에 ‘22일 학교장 판단에 따라 등하교 시간을 조정하라’는 안내 공문을 발송했다.

경찰청은 전국 192개 구간 642km의 버스전용차로를 해제하고 경찰 가용경력과 모범운전자 등 1만2천여명을 교통 관리에 투입키로 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