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들에게 돌아갈 ‘돈’이 마른다 농산물 소매가격 절반은 ‘유통비’

aT, 지난해 평균 41.8% ‘김장무’ 무려 80% 달해

농산물 유통비용이 소매가격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농산물 소매가격의 유통비용 비중이 평균 41.8%로 조사됐다.

이 비중이 가장 큰 품목은 엽근채소류(잎이나 뿌리를 먹는 채소류)로 평균 69.6%에 이른다.

최근 가격이 급등해 ‘식탁물가’를 끌어올린 김장무는 유통비용이 무려 80.0%에 달했다. 김장배추가 바로 뒤를 이어 77.1%, 당근과 상추가 각각 66.6%, 62.8%였다.

김장배추는 최근 가격이 폭등해 포기당 3천500원까지 올랐음에도 농민에게 돌아가는 돈은 고작 800원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김장에 쓰이는 양념채소류의 유통비용도 평균 48.0%다.

양파의 유통비용은 71.9%다. 대파(50.8%), 풋고추(48.4%)도 유통비용이 가격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감귤(56.1%), 배(47.4%) 등 과일과 닭고기(52.1%), 쇠고기(42.2%) 등도 유통비용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업체의 대형화도 유통비용을 줄이지는 못했다.

지난해 유통비용 41.8%를 단계별로 나눠보면 출하단계 10.0%, 도매단계 8.6%, 소매단계 23.2%다. 절반 이상의 비용이 소매단계에 들어가는 셈이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