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지원 ‘기술개발사업’ 알찬 성과 투입예산比 3.5배 경제효과 ‘톡톡’

경기과기원, 고지혈증 치료제 기술개발 등 114개 과제 대상 분석

총 사업비 489억3천만원 지원… 매출 773억·일자리 595개 창출

경기도가 지난 2008년부터 실시해 온 기술개발사업이 투입 예산 대비 평균 3.5배에 이르는 경제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은 24일 진흥원에서 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과 과학기술진흥위원회 위원 등을 대상으로 경기도 기술개발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 이같은 내용의 성과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경기도는 지난 2008년 12월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도비 총 750억원을 투입, 310개 과제를 지원했다. 이 가운데 올해 상반기까지 173개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고 107개 과제는 진행 중이다. 나머지 30개 과제는 중간평가 결과 5건은 실패 종료, 18건은 조기종료, 7건은 중단·해약했다.

‘고지혈증 치료제의 새로운 특허화 공정기술개발’, ‘IT단말기용 필름형 내장안테나 개발’ 등 지난해 상반기까지 개발을 마치고 사업화한 114개 과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도 지원금과 기업투자 등 총 사업비 489억3천만원을 투입해 매출 773억원과 일자리 595개를 창출하고 23억원의 비용절감 효과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도 지원금 1억원당 3억3천700만원 매출과 2.6명 일자리 창출, 특허 0.95건, 논문 0.1건, 지식재산권 0.16건을 만들어낸 셈이다.

이는 중앙정부가 진행 중인 유사 연구개발(R&D)사업 성과와 비교해 매우 높은 수준의 성과라는 평가다.

개발과제 사업화 성공률은 53.1%로 중앙정부의 기업협동형 기술개발사업(23.9%)에 비해 두 배 이상 높고 중앙정부 R&D사업 가운데 가장 성공률이 높은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44.9%)에 비해서도 8.2%나 높다.

이와 함께 지원금 1억원당 성과도 지식경제부 기술혁신사업과 비교해 논문 건수와 비용절감액만 다소 적을뿐 매출액·투자·특허·신규고용창출 등 다른 부문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특히 신규 고용창출 2.6명은 0.34명에 불과한 지경부 기술혁신사업에 비해 7.6배 높았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