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송도서 개막… 韓·獨 등 3곳 유력 후보지 내일 판가름 “홈그라운드 이점 최대 활용 24개국 이사국 표심 사로 잡을 것”
UN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 유치 국가를 결정지을 GCF 2차 이사회가 18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막을 올렸다.
인천이 GCF 사무국 유치에 성공하면 오는 2020년까지 연간 1천억달러씩 총 8천억달러, 한화로 904조원에 달하는 기금을 운영하는 국제기구가 처음으로 국내에 둥지를 틀게 되는 터라 인천은 기대감으로 한껏 들떠 있다.
현재 GCF 사무국 유치전에 뛰어든 나라는 한국과 독일, 스위스, 폴란드, 멕시코, 나미비아 6개국이다. 독일과 스위스, 한국이 유력한 후보지로 떠오르고 있다.
인천은 유치국가 결정투표를 진행하는 2차 이사회 개최국이라는 ‘홈그라운드’ 이점을 최대한 활용해 설계부터 친환경도시로 조성한 송도국제도시의 뛰어난 경관과 편리한 생활환경 등을 앞세워 24개 이사국의 표심을 사로잡겠다는 전략이다.
또 GCF 사무국에 무상임대하기로 한 국제기구 전용 건물 아이타워(I-Tower)에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면서 이사국 대표들에게 직접 아이타워를 둘러볼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투표는 오는 20일 멀리플 라운드 방식으로 진행된다. 24개 이사국이 6개 유치 후보국을 대상으로 한 번 투표할 때마다 최하위 득표 국가를 탈락시키고 과반 국가가 나올 때까지 계속 투표하는 방식이다.
이사국은 미국과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 12개국과 중국과 인도, 멕시코 등 개도국 12개국으로 구성돼 있다.
인천은 지리적으로 중국과 일본, 태평양을 잇는 동북아에 자리 잡고 있고 개도국으로서 선진국 진입을 눈앞에 둔 점 등이 높이 평가돼 개도국 이사국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곧 국제기구로 출범하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녹색기술센터(GTC)와 연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 가교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적임국가라는 것 등을 강점으로 꼽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도 지난 17일 인천을 찾아 GCF 사무국을 인천에 유치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지지를 호소했다.
반면 독일은 막강한 경제력을 앞세워 4천만 유로 재정지원을 약속했고, 스위스는 임시사무국 운영 및 영주권 부여 등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고 있다.
인천이 GCF를 유치하면 연간 4천억원에 달하는 경제효과와 1천915명의 고용유발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근 인천이 유치의사를 밝힌 세계은행(World Bank) 한국사무소도 송도에 안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