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사업구조개편, 임원 밥그릇수 늘리기?

“임원수만 2배 불린 농협 사업구조 개편”
국감, 조직 비대화·대출 금리 조작 등 ‘도마 위’

신경분리 후 ‘고위직 자리늘리기’수단 의혹

68개 조합 1천명 비리 연루… 359억 가로채

농협이 사업구조개편 이후 임원수가 49% 증가해 사업구조개편이 임원자리 늘리기였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열린 농협 국정감사에서 김우남 의원(민주통합당)이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농협은 사업구조 개편 전 중앙회 회장, 대표이사, 상무, 비상임이사, 감사 등 모두 합해 53명의 임원이 있었다.

그러나 지난 3월 2일 사업구조개편이 되면서 금융지주에 10명, 경제지주에 9명, 농협은행에 19명, NH 생명보험에 9명, NH손해보험에 6명 등 총 51명의 임원이 늘었다.

현재(10월기준) 농협에는 임원이 104명에 달해 사업구조개편 전에 비해 49% 증가한 것이다.

김 의원은 “임원들의 연봉과 증가한 수만큼 인건비도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해 결국 농협의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고위직 임원만 늘린 그들만의 잔치가 된 셈”이라고 질책했다.

황주홍 의원(민주통합당)도 “농협의 신경분리 후 중앙회와 금융·경제지주, 자회사의 조직비대화가 문제되고 있다”며 “농협은 신경분리 전 직원이 1만 8천163명이었지만 올해 3월 금융지주 출범과 함께 인원이 늘어 8월말 1만 8천904명으로 741명이 늘었다”고 밝혔다.

황 의원은 또 “금융지주 대표가 연봉 2억7천만원, 생보 대표가 2억5천만원에 기본급의 80%까지 성과급을 받을 수 있고 부장급이 포함되는 M급 연봉도 1억200만원에 기본급의 700%까지 상여금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협 대출 금리 조작 등 비리 문제도 도마위에 올랐다.

신성범(새누리당) 의원은 “농협 특별감사 결과 농협 조합에서 대출금리를 조작해 이자를 부당 수취한 것이 사실로 드러났다”며 “대출 금리 조작에는 68개 농협조합 1천명이 연루됐으며 가로챈 금액만도 359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금융위기로 인해 줄어든 농협 자체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대출 금리를 조작한 것은 어려움에 처한 농민들의 주머니를 터는 심각한 범죄행위”라며“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련자들의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