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산업경제硏, 道·인접지역 연계한 효율적 경제방안 논의 특화산업 등 연관성 높은 ‘9개 권역’ 설정… 다층적 협력 강조
경기도와 인접지역들을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경제권역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경기본부는 지난 2일 경기대학교에서 경기대 한국산업경제연구소(소장 김기흥 교수)와 공동으로 ‘경기도와 인접지역의 경제권역 구분에 관한 연구’ 지역경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손명기 유아컨설턴트 부설 연구소장은 경기도와 인접지역을 인구, 산업분포, 중심성 특성, 특화산업 분석 등을 통해 연관관계가 높은 곳끼리 묶어 행정구역 위주의 권역에서 벗어난 경제권역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따른 경제권역은 ▲수원권(수원·의왕·군포·안양·과천·용인) ▲화성·부천권(부천·화성·광명·안산·평택·오산·시흥) ▲광주권(광주·하남·성남·여주·이천) ▲남양주권(남양주·구리·양평·가평) ▲고양·양주권(고양·양주·김포·파주·포천·의정부·동두천·연천) ▲부평권(부평구·계양구·동구·서구·남구·남동구·중구·연수구·강화군) ▲천안·청주권(천안·청주·안성·아산·당진·예산·청원·음성·진천·증평·충주) ▲춘천권(춘천·화천) ▲원주권(원주·횡성·평창) 등 9곳이다.
수원권의 경우 점유율 상위업종과 특화 업종이 전기·전자 등으로 나타났으며 화성·부천권은 자동차·장비와 화학제조업 등이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발표자들은 경기도와 인접지역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경제권역별 도시권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광역시·도, 기초자치단체 간의 다층적 협력이 원활해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5+2 광역경제권을 보다 세분할 필요가 있으며 광역시·도 간에는 상호협력을 통해 전략산업 등을 발굴하고 권역 내 지자체는 중심지역과 주변지역, 신성장 거점의 연계발전을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손 소장은 “산업은 물론 대학 등 연구기관과 인프라, 교육, 의료 등 정주환경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해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향후 신성장산업 등을 육성함에 있어 특정 행정구역이 아닌 경제권역을 중심으로 인근지역이나 주요 거점지역을 연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