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는 어렵고 지루하다는 편견이 지배적이다. 서양화 중심의 미술교육을 받고 서양 명화에 더 익숙해서일까. 왜 동양의 옛 그림은 가로 또는 세로로 긴 그림인지, 왜 비슷비슷한 풍경과 인물이 반복되는지, 왜 항상 여백이 존재하는지 등…. 볼수록 질문은 많아지고 답은 찾을 수 없으니 벽은 높아만진다. 신간 ‘들어가서 보는 그림 동양화(루비박스 刊)’는 이같은 물음표를 느낌표로 만든다.
책의 출발점은 동양화를 어렵게 느낄 수 밖에 없는 현실에 대한 저자의 안타까움이다.
저자 김상엽은 한국미술사와 예술철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고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했다. 한국미술연구소 연구원과 인천대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와 문화재청 인천항 문화재감정관으로 근무하고 있다.
그는 강의를 하면서도 풀지 못한 동양화에 대한 의문에 자괴감을 느꼈다고 술회한다. 또 수많은 책과 기록, ‘강호의 고수’ 등을 통해 답을 얻으면서 학술서와 일반 서적의 넓은 간극을 확인했다.
이에 저자는 어렵지 않게 동양화 관련 기초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이 책을 펴낸 것.
기존의 시대 또는 작가별 작품 설명 나열방식이 대부분이었던 동양화 입문서와 달리 동양화의 기본 원리와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감상 포인트를 짚어주는 것이 특징이다.
직접 강의하는듯한 문체에 총 10강으로 구성했다. 1장에서 8장까지는 동양화의 그림 그리는 방식, 9~10장은 동양화의 이해를 위한 배경 지식을 서술했다.
예로 저자는 '왜 동양의 옛 그림은 서양화처럼 원근법이 없는 것일까'라고 질문, 그 답으로 동양화 특유의 '삼원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동양화를 바라보는 방법을 내놓는다.
화폭 속의 유유히 산길을 걷는 노인, 정자에 앉아 담소를 즐기는 사람, 나귀타고 가는 선비 등 각 등장인물은 화가가 구성을 위해 채워넣은 캐릭터가 아니라 그가 되어 그 정취를 느껴보라는 의미라는 설명이다.
동양화는 '들어가서 보는 그림'이라는 것. 이를 통해 서양화의 원근법과 동양화의 삼원법의 차이를 설명한다. 그림자를 ‘못’그린 것이 아니라 ‘안’그린 이유를 설명하면서 동양화만의 철학을 짚어보는 대목도 흥미롭다.
이처럼 저자는 동양화에 대한 소소한 질문과 답을 풀어내면서 ‘그 시대 사람들이 이해하고 향유했던 방식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값1만3천500원
류설아기자 rsa119@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