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자급률 86.5%… 농지확보·제도 개선 등 대책 시급
주요 식량작물 중 유일하게 자급자족이 가능한 쌀 생산량이 수년째 떨어지고 있어 ‘식량 안보’에 비상이 걸렸다.
23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2010년 104.6%에서 지난해 83.0%로 급락했던 쌀 자급률은 올해도 90%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쌀 자급률을 계산할 때는 전년도 생산량을 기준으로 삼는데 2011년 생산량은 422만4천t이었다. 이는 냉해가 극심했던 1980년(355만t) 이후 31년만에 최저치다.
그런데 최근 5년간 쌀 수요량의 평균은 488만3천t에 달한다. 이를 기준으로 올해 쌀 자급률을 계산하면 86.5%에 불과하다.
내년 쌀 자급률이 90%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올해보다 더 낮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수확기를 앞두고 연이어 불어닥친 태풍으로 ‘백수 현상’이 심각해 올해 수확량이 지난해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백수 현상은 염분을 함유한 강풍으로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죽는 것을 말한다.
쌀값은 이미 오름세를 보여 쌀 20㎏ 도매가격이 지난해보다 7.2% 오른 4만1천800원에 달한다. 평년 가격이 3만8천원가량인 것에 비춰보면 크게 오른 셈이다. 이 추세가 계속되면 쌀 재고도 급격히 줄게 되고, 국내 생산량과 의무수입물량을 더해도 쌀 수요량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농협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곡물 가격이 급등하고 곡물수출량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쌀은 수익성이나 시장성이 아닌 ‘식량 안보’의 차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쌀의 안정적 자급을 위해서는 쌀 자급률 목표와 연계해 농지를 확보하고 쌀소득 직접지불제를 개선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