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조원 뿌리면 죽어가는 땅도 살릴 수 있을까?

4분기, 파주 운정3지구 등 7개 지구… LH, 한시적 현금보상 검토

올해 하반기에 보금자리주택지구·택지지구·산업단지 등의 신규보상이 5조~6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LH는 한시적인 현금 보상을 검토하고 있어 보상지 인근 지역은 개발 기대수요와 대토(代土) 수요가 몰리면서 주변 부동산 시장의 일시적 상승세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23일 국토해양부와 LH, 경기지방공사 등에 따르면 이달 말부터 올해 연말까지 보금자리주택·택지지구·산업단지 등 7개 지구에서 약 6조원 상당의 보상이 시작된다.

통합 이후 재정난으로 토지 보상이 원활하지 못했던 LH는 올해 4분기에만 신도시급인 파주 운정3지구를 비롯해 김해 율하2지구·전주 만성지구 등 택지지구, 장항 국가산업단지·광주국가산단·포항국가산단 등 산업단지에서 6개 지구, 4조7천억원 규모의 신규 보상작업에 착수한다.

파주 운정3지구는 698만㎡ 부지에 주택 3만9천291가구를 짓는 사업으로 LH 출범 후 사업성 재검토로 보상 절차가 중단됐다가 3년만에 보상이 재개되는 곳이다.

LH는 최근 감정평가를 마쳤으며 이달 말까지 토지주에게 감정평가액을 통보하고 곧바로 보상에 착수할 예정이다.

토지와 지장물 등 보상비는 총 3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LH는 통합 이후 채권보상 6개월, 현금보상 6개월 등의 보상방식을 원칙으로 해 왔으나 파주 운정3지구를 비롯해 올해 연말까지 보상하는 토지에 대해서는 채권보상 없이 현금 보상을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에 따라 현금이 곧바로 인근 지역 토지·주택 시장에 곧바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어 인근 부동산 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보금자리주택지구에서는 경기도시공사가 시행하는 남양주 진건지구의 신규 보상이 이달 말부터 시작된다.

남양주 진건은 주택 1만7천가구가 들어서는 2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경기도시공사의 자금난으로 인해 보상이 지연됐다.

보상비는 약 9천억원 정도로 추산되며 현지인·부재지주 모두 6개월의 채권보상에 이어 이후 6개월간 현금보상을 진행한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