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립인천대 강의동 증축지원 재정난 이유로 미뤄 특혜논란 속 유치한 청운대 교과부 부실대학 지정
인천시의 대학정책이 중구난방이다.
인천대학교에 약속한 강의동 증축지원금은 재정난을 이유로 미루고 있고, 특혜 논란 속에 유치한 청운대학교는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부실대학으로 지정됐다.
경인교육대학교나 가천대학교 등 지역 내 대학과 학생들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수수방관하고 있다.
17일 인천시와 인천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1월 인천대와 인천전문대가 통합해 송도캠퍼스로 이전하면서 강의실이 부족할 것을 우려해 인천도시공사가 인천대 제물포캠퍼스 부지를 매각하거나 개발해 얻은 수익금 961억원(올해분 270억원)으로 강의동 등을 증축해주기로 협약을 맺었다.
하지만, 인천도시공사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사업성 악화 등으로 공사비를 마련하기 어렵다며 증축을 미루고 있다. 인천대 송도캠퍼스는 현재 강의실 사용률이 54.4%로 여유가 있지만, 제물포캠퍼스에 아직 인천전문대와 사범대, 계약학과 학생 등 3천여 명이 송도캠퍼스로 오지 못하고 남아 있다.
특히 부지 헐값 매각 등 각종 특혜논란에 휩싸였던 청운대는 최근 교과부가 발표한 43개 부실대학에 포함돼 정부지원도 받지 못하게 됐다.
시가 청운대를 유치하면서 수도권지역의 유일한 산업대학으로 고등 전문교육을 제공하고 전문인력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 것과는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왔다.
또 가천의과학대학과 경원대학이 올해 가천대학교로 통합된 뒤 인천캠퍼스 정원은 지난해 827명에서 올해 525명으로 302명(36.5%)이나 줄었다.
경인교대의 경우 시는 이전계획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학교 측은 여전히 이전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조영홍 인천시의원은 “인천시가 중앙정부로부터 인천 홀대론을 제기하듯 시립대학인 인천대도 시에 홀대론을 제기할만한 상황”이라며 “글로벌 대학을 유치하는 것도 좋지만, 기존의 지역대학에 더 관심을 두고 책임 있는 정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인천도시공사에 인천대 증축건립비 예산을 조속히 지원하도록 요청했다”면서 “인천대 송도캠퍼스나 제물포캠퍼스의 강의실 사용률이 각각 54.4%, 33.4%로 낮고 정원이 늘어도 60% 정도에 불과해 강의실 부족사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