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도 끝나가고 있다. 예년과 달리 짧은 방학에 아쉬움도 클테지만 그럴수록 겨울방학을 기다리는 즐거움은 쏠쏠하다. 요즘처럼 개학과 동시에 생활 리듬이 바뀔 때는 짧은 이야기로 새학기를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공부를 할 수 없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교실 지붕위에서 공부한 랍비 힐렐이야기나 굴뚝청소를 한 두 아이 이야기는 잘 알려진 ‘탈무드’에 나온다. 굴뚝청소를 한 두 명 중 ‘누가 씻을까’ 하는 문제는 처음부터 없었다. 굴뚝청소를 한 아이의 얼굴이 깨끗하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탈무드’는 아주 짧은 이야기지만 하나같이 우리에게 지혜를 던져 준다. 1분 혹은 5분간 한 두 편씩 읽으며 생각에 잠겨보자.
때로는 마음을 식히는 시간도 필요하다. 그 때 읽다보면 새록새록 지혜가 샘솟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 하나의 지혜의 보고를 들라면 ‘장자 이야기’(풀빛)를 꼽을 수 있다. 장자 이야기 중 제10화는 ‘꿈 깨니 또한 꿈 이런가’ 이다. 이 이야기는 꿈 속에 ‘나와 나비’가 등장한다. 자고 있는 내가 꿈을 꾸고 있는데, 꿈에 내가 나비로 변한 것 같은데 그 꿈에 나비가 나인지 자고 있는 내가 나인지 생각하다가 깨어보니 꿈이었던 것이다. 우린 때로 사실이지만 엄청난 손해나 가슴 아픈 상처를 참으며 그것을 덮을 때도 있고, 그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서 죽을힘을 다해 규명할 때도 있다. 이제 마음을 조금 내려놓아 살짝 다른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쉼표가 필요하다.
장자이야기 중 몇 가지 이야기를 추천한다면, 외편에 나오는 제38화 ‘벼랑에 이르러야 바다를 본다’와 제39화 ‘바람은 경계가 없다’, 그리고 제42화 ‘최고의 명장은 자연’, 제48화 ‘한 우물을 파라’ 등이다.
이 두 권의 책을 놓고 잠자리에 들기 전 한 편 혹은 두 편씩 읽어보자. 장자의 생각과 탈무드의 지혜를 생각하며 깊은 사색에 빠져들수록 깊은 생각을 끌어올릴 수 있다. 문의(031)257-5067
전방하 동화작가·‘독서특훈하나로’ 저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