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 멘토’ 김난도 교수, 신간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출간

에세이 ‘아프니까 청춘이다’로 베스트셀러 작가로 떠오른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가 신간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오우아 刊)를 내놨다.

전작이 대학생 등 청춘을 위한 조언을 담았다면, 신작은 사회에 첫발을 디딘 사회초년생이 대상이다.

“아프니까 청춘”이라 했지만, 청춘을 견뎌내고 사회에 나와도 아픔은 계속된다. 아니, 오히려 더 아프다. 대학 문을 나서 사회에서 자리를 잡기까지, 생물학적 나이로 25세에서 35세 사이의 ‘어른아이’들이 겪는 아픔은 학창 시절의 아픔에 비할 바가 아니다. 아픈데도 아프다는 말조차 하지 못하며 일과 사랑, 가족, 인간관계, 자아실현 사이에서 힘겨운 저글링을 해야 하는 만만찮은 ‘어른의 삶’이 기다리는 것. 꿈과 현실, 가정과 직장, 고독과 자유 등 도무지 접점을 찾기 힘든 선택지 사이에서 갈팡질팡 흔들리고 휘청거리는 어른아이들.

이처럼 이 책은 청춘의 불안을 지나 세상 속에서 뜨거운 볕을 맨몸으로 견디며 흔들리고 있는 어른아이들을 위해 들려주는 저자의 가슴 벅찬 인생 멘토링이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순간부터 시련과 상처투성이인 어른의 삶을 막 살아가기 시작한 사회초년생들이 힘겨워하는 문제와 딜레마들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보여주고 함께 고민한다.

 

또 사회에 진입조차 하지 못하는 취업 재수, 삼수생까지 청춘을 허비하는 아픔에 고통 받는 이들에게 용기와 격려의 메시지를 보낸다. 어른의 흔들림은 자연스러운 것이며, 그러므로 부끄러워하지도 말고 너무 많이 아파하지도 말라는 깨달음을 전하며, 삶이 나를 거칠게 흔들 땐 꼿꼿이 버티다가 나가떨어지거나 부러지기보단, 함께 흔들리며 한 뼘씩 성장하고 새로워지는 것이 진짜 어른임을 일깨워준다.

새 책에서도 김 교수는 특유의 감성적이면서도 담담한 필체로 청춘들의 풀죽은 어깨를 토닥인다. 하지만 날카로운 메스를 들이대 한국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들여다보지는 않는다.

그는 에필로그에서 “내 글에 깊이가 부족한 것은 나도 고민하는 바”라며 “적어도 전작의 수준은 갖춰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끊임없이 나를 괴롭혔다”고 털어놓고 “이번 책을 위해 여러 시집과 고전을 새로 혹은 다시 읽었다”고 말했다. 값 1만4천원

윤철원기자 ycw@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