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지방통계청, 겸업 등 농외소득은 증가
최근 15년 간 경기지역 농가의 농업소득이 70%가량 감소하고 농가부채는 16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경인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15년간 도내 농가 소득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도내 농가의 농업총수입에서 농업경영비를 제한 평균 농업소득은 283만3천원으로 15년 전인 1996년 902만2천원보다 69% 줄었다.
이 가운데 쌀 경작 수입은 553만1천원으로 748만1천원과 비교해 26%(195만원) 감소했다.
반면 겸업 등 농외소득은 2천95만7천원으로 15년 전 1천432만1천원에 비해 46%(663만6천원) 증가했다. 논농업 고정직불금과 농기계 보조금, 농약 보조금 등 공적보조금을 포함한 이전소득도 2006년보다 20%(95만7천원) 늘어난 578만3천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농업소득과 농외소득, 이전소득 등을 합한 농가소득은 3천312만9천원으로 1996년 2천878만9천원보다 1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5년 전 4억1천69만6천원에 그쳤던 농가자산도 지난해 6억7천998만9천원으로 66%(2억6천929만3천원) 급증했다.
농가자산은 토지, 건물, 기계류, 대동물 등 고정자산이 86%를 차지했다.
하지만 농가부채는 15년 전 1천604만원에서 지난해 4천262만3천원으로 166%(2천658만3천원) 폭등했다. 지난해 농가부채의 9%는 사채였고, 가계자금을 빌리는 경우도 34%나 됐다.
경인지방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도내 농가소득은 전국 9개 도 가운데 3위로 15년 전 2위에서 1단계 내려갔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