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FTA시대 새 소득원 지원·육성사업 표류 농가 “관련 지식·경험 등 태부족… 축종전환 우려”
정부가 적극적으로 말 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지만 경기도내 기존 축산농가와 지자체들은 말 사육으로의 전환에 주춤하는 등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12일 농림수산식품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말 산업을 FTA 시대 농어촌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최근 ‘말 산업 육성 5개년 종합 계획’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현재 3만두의 말 두수를 오는 2016년까지 5만두 규모로 키우고, 농가수는 1천900호에서 3천호, 승마장수는 300개소에서 500개소, 승마인구는 2만5천명에서 5만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같은 방침에 정작 축산농가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경기도는 이미 지난 2007년부터 화성, 안산 등에 승마장을 짓는 등 말 산업 육성에 뛰어들었지만 도내 말 사육농가는 지난해말 기준 149호, 사육두수는 4천282두에 불과하다. 지난 2010년 122호, 3천489두에 비해 증가폭도 크지 않다.
이는 축산농들이 대부분 고령인데다 말 사육기술이 까다롭고 말 전문 수의사가 전국에 30명도 안 되는 등 사육기반도 구축돼 있지 않아 섣불리 축종을 전환하지 못 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성시에 거주하는 축산농 장모씨(66)는 “말이 구제역 위험도 없고 고소득을 창출한다고는 하는데 아직 정보도 없고 확신도 없다 보니 나나 주변 농가들이나 먼저 뛰어들었다가 실패할까봐 눈치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산업 육성 TF팀까지 만든 양주시도 단기간에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양주시 관계자는 “축산농들을 대상으로 말 사육 관련 교육도 시켜봤지만 아직까지 승마가 대중화, 보편화돼 있지 않다보니 위험부담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단기간에 성과를 보려 하지 말고 말 산업에 대한 인식전환과 인프라 구축부터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말 산업 육성을 위한 도 차원의 여러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사육 농가 확대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무리하게 속도를 내기보다 농식품부의 구체적인 계획에 따라 사업을 보완하든지 추가하든지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