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분담 협의·인근 사유지 매입 진척없어… 2014년 완공여부도 불투명
공항철도 영종역 건립이 산 넘어 산이다. 사업비를 누가 댈 것인지 아직 확정이 안 된데다 영종 역사 인근 사유지를 매입·보상해야 하는 숙제까지 남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영종역 완공이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 이후에나 가능(본보 30일 자 1면)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사업비 분담 협의가 지연되면서 2014년 완공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30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영종역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금산나들목 부근 1만4천830㎡ 부지에 311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건립될 예정이다.
사업비는 영종역 수혜 대상자인 영종하늘도시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인천도시공사가 각각 62.89%, 37.11%를 분담키로 했었다.
하지만, 인천도시공사가 영종역 인근 미단시티도 수혜지역에 포함되는 만큼 미단시티 사업시행자도 30억원(추정치) 가량 분담할 것을 요구하면서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갑자기 거액의 사업비를 떠안게 된 미단시티로서는 선뜻 수용하기가 어렵다 보니 협의가 수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사업비 분담이 협의가 이뤄져야 시가 역사를 지을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협약을 맺고 설계 등을 추진할 수 있으나 첫단추도 아직 끼우지 못하고 있다.
또 영종역 인근 주차장 조성을 위해 사유지를 매입·보상해야 하는 문제도 남아 있으나 토지주와의 보상협의가 얼마나 걸릴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영종역이 개통되면 2012년 일일평균 이용객이 5천800여 명, 2014년에는 1만여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용역 결과에서도 경제·재무적으로 영종역 추가 건설이 타당한 만큼 이른 시일 내 관계기관이 협의·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이와 관련, 인천도시공사 관계자는 “잠정적으로는 사업비를 부담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아가고 있으나 정확한 분담내역 등에 관한 협의는 아직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면서 “지금으로서는 언제쯤 사업비 분담협의를 마무리할지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