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가 정치권과 인근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내년 3월 착공이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 서남부 지역 교통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서부간선도로 및 서울외곽순환도로가 상습 지정체 현상을 빚고 있는데다 향후 광명시흥 보금자리 등 개발사업으로 이 지역내 교통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8일 부천시와 서서울고속도로(주)에 따르면 코오롱 등 10여개 업체가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한 서서울고속도로(주)는 총 9천800억원을 들여 광명시 가학동(광명IC)에서 서울 강서구 방화동(올림픽대로)에 이르는 19.95㎞(4~6차로)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를 오는 2015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이 구간 중 부천시 통과구간은 6.36㎞에 달한다.
정치권도 ‘IC설치’ 반대 해당구간지하화입장차 서남부교통난심화될듯
하지만 주민들과 정치권의 반발로 지난 3월 예정된 착공이 1차로 지연된데다 향후 착공시기 마저 가늠할 수 없어 사업이 불투명한 상황에 처했다.
특히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국토해양부가 기획재정부에 상정해야 할 민간투자심사 절차 이행도 미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과 정치권은 광명~서울간 민자고속도로 부천구간 작동 까치울 마을내 동부천IC가 설치될 경우, 도로건설에 따른 소음과 진동피해, 녹지훼손, 까치울정수장내 오염물질 유입 등의 피해를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부천구간 전면 지하통과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서서울고속도로(주) 사업자측은 이 구간을 지하화하게 되면 사고시 안전 조치 등이 어렵고 공사비가 증가해 사실상 어렵다는 입장이다. 동부천IC 미설치 및 터널 통과시 공사비는 1천445억원에 이르며 운영비 또한 연간 6억원이 증가하고 일일 평균교통량이 6천777대 감소, 1천779억원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게 업체측 설명했다.
이에 업체 측 관계자는 “공사비 증가는 요금증가로 충당할 수 밖에 없어 결국 시민들의 부담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면서 “녹지훼손은 부천시 녹지율 전체면적 53,45㎢ 중 0.08㎢로 미미하며, 소음 문제 또한 까치울 전원단지와 동부천IC가 야산으로 가려져 있어 피해는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부천=김종구기자 hightop@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