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혜선 著 ‘여성 한시 전집’

조선시대 여성들은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데 자유롭지 못했다. 부녀자가 시를 지어 내보이는 것은 당시의 사회 통념에 반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한시를 지어 자기 내면의 목소리를 솔직하게 드러낸 여성들이 있었다.

황진이, 이매창 등의 기녀, 이옥봉 등의 첩(소실), 사족(士族)의 허난설헌, 송덕봉 등은 사회적 소외와 억압에도 불구하고 남성 사대부의 전유물이었던 한시를 통해 여성으로서 자의식을 드러내고 나아가 뛰어난 문학적 성취를 보여주었다.

그녀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여성 한시 선집’(강혜선 著, 문학동네 刊)이 출간됐다.

책은 조선의 여성들이 남긴 한시 작품들을 ‘국조시산(國朝詩刪)’, ‘기아(箕雅)’, ‘풍요속선(風謠續選)’, ‘풍요삼선 風謠三選’ ‘대동시선(大東詩選)’ 등 역대 중요 시선집에서 가려 뽑아 우리말로 옮겼다.

책에 실린 한시들을 읽다보면 만나지 못하는 임을 그리워하고, 남편과 자식을 걱정하고, 고향과 부모를 생각하고, 자연 속에서 자기만의 세계로 침잠하고, 책 읽으며 시를 짓고, 생활고에 시달리기도 하는 조선시대 여성들의 다양한 삶의 진실을 마주하게 된다.

특히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여성 문인인 허난설헌의 감각적인 시어들로 여성 고유의 정감에 충실한 한시와 개인 시문집을 남길 정도로 많은 한시를 지었던 이매창, 탁월한 시재(詩才)로 가장 널리 알려진 이옥봉 등의 다양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기녀든 첩이든 사족이든 여성들의 한시가 오늘날까지 전할 수 있었던 데에는 사대부 문화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여성의 한시 창작을 비난하고 억압했지만 여성 한시 작품의 가치를 알아보고 기록으로 전한 이들 역시 사대부 남성이었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하다. 1만2천원

강현숙기자 mom1209@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