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작년동기대비 ‘신설법인’ 24.7%↑…전국 평균 증가율보다 높아 초기자금 5천만원 이하 69.8%…대내외 여건 악화시 대처능력 우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경기도의 적극적 창업지원 정책의 영향으로 올들어 경기지역 신설법인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은행 경기본부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4월말까지 경기지역 신설법인수는 모두 5천85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7%가 증가했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 18.7%보다 6%p 높으며 같은 기간 경기지역의 취업자수 증가율과 제조업 생산 증가율이 둔화된 것과도 대조적이다.
신규 창업자의 창업자금 규모는 5천만원 이하 소규모 창업 비중이 전체의 69.8%에 달했고 비중도 매년 높아지고 있다.
또 신규창업자의 연령층은 40대가 전체의 40.1%로 가장 많은 가운데 30대 창업비중(2009년 26.4%→올해 23.9%)은 매년 낮아지는 반면 50대의 비중(21.8%→24.4%)은 상승하고 있다.
이같은 신설법인 증가는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따른 생계형 소규모 창업이 경기지역에 집중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경기도의 인구구조를 보면 50~59세 인구의 증가세가 두드러지며 전국 증가율을 지속적으로 상회하고 있고 이 연령대의 창업비율이 최근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G-창업프로젝트 등 경기도의 적극적인 창업지원정책과 타 시·도에 비해 우수한 기업경영여건이 창업을 활성화시켰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최근의 신설법인수 증가가 중·노년층의 생계형 소규모 창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만큼 대내외 여건 악화시 이들의 대처능력이 충분치 못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또 일부 중소기업에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창업지원 정책에 편승한 기존 생산라인의 분사가 이뤄져 실질적인 생산·고용증대 효과는 크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은 경기본부 관계자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경기도의 노력이 어느 정도 성공한 것이지만 경기상황에 비해 신설법인수 증가가 과도해 중소기업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수익성도 크게 저하될 수 있다”며 “창업지원정책에 있어 양적 확대보다 질적 내실화를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