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G삼보가 추천하는 여름철 PC 관리요령
때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 잦은 전자제품의 고장으로 골머리를 앓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상생활에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는 PC의 경우,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쉽게 고장나기 일쑤다. TG삼보 기술연구소에서 여름철 PC를 보다 쉽게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무더위와 PC
여름에는 PC에서 나오는 열기로 인해 과부하가 생겨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우선 PC를 통풍이 잘되는 곳에 설치해 벽과 PC 사이의 간격을 10㎝ 이상 띄워, PC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이 밖으로 잘 퍼지도록 한다. 컴퓨터 전용 책상에 PC를 둘 경우 통풍구가 막혀 있는 경우는 발열이 원활치 않으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직사광선이 쬐는 곳에 두지 말며(창가는 좋지 않다), 10시간 이상 계속 사용하지 말고, 장시간 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가급적 전원을 끄도록 한다. 노트북의 경우, 데스크톱에 비해 내부 부품 밀도가 높아 열에 특히 민감하다. 팬만으로 열 발산이 효과적이지 않을 때는 방열패드 등을 구매해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습기와 PC
여름철 눅눅한 습기로 인해 갑자기 컴퓨터의 전원이 들어오지 않거나 오동작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PC를 설치할 때는 이를 고려해 습기가 많은 장소는 피하고 통풍이 잘되는 장소를 선택한다. 집안의 습기제거를 위해 에어컨을 켜거나 조금 덥더라도 가끔 난방을 가동하여 집안의 습기를 제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가능한 한 하루에 약 20분 정도 PC를 켜 습기를 제거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트북의 경우, 노트북 가방에 방습제를 넣어두면 가방 내 습기를 제거해 부품의 부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장마철에는 가방에 있는 노트북에 물기가 침범할 수 있으므로 전용 파우치 등으로 이중 보호장치를 해주면 습기와 충격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번개와 PC
여름 장마철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 중의 하나가 번개다. 번개가 치는 날이나 휴가 및 출장 등으로 장시간 집을 비우게 될 때에는 컴퓨터는 물론 다른 가전제품의 전원 코드 등도 뽑아 주는 것이 번개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다. 번개가 치는 날에는 전원코드, 전화선, 랜선, 안테나선 등 외부와 연결되는 모든 케이블을 뽑아둔다. 케이블을 통해 과전류가 흘러 들어와 전원공급장치,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및 여러 주변기기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아주 높기 때문이다.
■침수와 PC
폭우 및 침수 등으로 인해 컴퓨터가 물에 잠겼을 때에는 물기를 제거했다 하더라도 전원을 바로 켜서는 안 된다. 침수피해를 입었을 경우에는 컴퓨터 케이스를 열고 깨끗한 물에 헹구어 흙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리지 말고,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곳에서 약 3~4일간 완전히 말린다. 3~4일간 완전히 말린 후에 전원을 켜 본 후,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지 않으면 A/S를 받아야 한다. 특히 노트북은 키보드가 일체형으로 이뤄져 있어 물이 들어가면 기기 전체가 망가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노트북 키보드에 물을 흘리거나, 습기가 많이 찼다면 전원을 차단하고 배터리를 본체로부터 분리한 후 전문가의 A/S를 받는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