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작물 말라죽는데… 농촌경제硏 “피해 미미” 수급불안 우려 농산물 ‘수입산 방출’에 농민 분통
경기지역을 포함한 전국적인 가뭄 비상에도 정부는 농작물 피해에 안일하게 대응하며 수입산 농산물 방출을 수급대책으로 내놓아 농민들이 ‘농민을 두번 죽이는 처사’라고 반발하고 있다.
19일 농림수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5월 이후 강수량은 평년의 38% 수준이며, 농업용저수지 저수율은 54%로 평년의 88%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상당수 논은 가뭄에 시달리고 있으며, 밭작물도 생육이 부진하고 말라죽는 등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농식품부와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모내기 상황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채소나 밭작물의 경우에도 가뭄에 대한 피해가 미미해 수급에 큰 차질이 없다”고 낙관적으로 전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파주에서 콩 등 밭작물을 재배하는 농민 최모씨(66)는 “이달까지 가뭄이 지속되다 다음달에는 또 홍수가 예상된다는데 이러다 흉작이 될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속 타는 농민의 심정은 모르고 정부는 무조건 괜찮다는 속편한 소리만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더욱이 정부는 수급불안이 우려되는 일부 농산물의 경우에는 해결책으로 수입산을 대량 방출해 물가를 잡겠다고 나서면서 농민들로부터 공분을 사고 있다.
농식품부와 기획재정부 등은 지난 15일 물가관계대책회의를 통해 가뭄 탓에 일부 밭작물의 작황 부진이 우려된다며, 봄배추는 6월 중 수매·비축하고 마늘은 의무수입물량 7천600t과 국산비축물량 6천t을 방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양파도 의무수입물량 2만1천t을 앞당겨 수입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전국농민회총연맹 경기도연맹 관계자는 “정부가 물가를 잡겠다고 의무수입물량을 늘리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을 뿐더러 소비자가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며 “농민들은 수확량도 줄어드는데다 생산비 보장도 받지 못하게 되는 극히 안일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