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14일 ‘가계부채 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2010년 한국의 GDP 대비 가계 부채비율이 81%로 OECD 평균(73%)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이는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스페인(85%)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그리스(61%)보다는 무려 20%포인트 높은 수치다.
가계빚 증가 속도도 빨랐다. 지난 2006년 이후 둔화했던 가계부채 증가율은 지난 2010년에 전년대비 2.4%포인트 상승한 9.8%를 기록했다.
같은 해 GDP 성장률인 6.3%보다 높은 수치다. OECD 회원국 중 그리스(12.1%), 터키(10.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치다.
대한상의의 관계자는 “OECD가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을 3.3%로 낮게 예상한 이유로 높은 가계부채를 지적할 만큼 가계 빚은 문제가 될 수 있다”며 “특히 세계경제 침체가 지속되고 국내경제 회복이 지연될 경우 가계부채가 경제위기의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가계부채가 국내 경제의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융권 대출억제와 같은 대책보다는 근본적으로 성장정책을 통해 일자리를 만들어 가계의 소득 창출력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