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예방 ‘시니그린’ 함량 겉잎보다 5배↑
항암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배추의 시니그린 성분이 겉잎보다는 속잎에 많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12일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배추는 겉잎과 속잎에 따라 시니그린 함량이 달랐으며, 겉잎의 시니그린 함량은 49㎎, 속잎의 함량은 137.3㎎으로 속잎이 겉잎보다 약 5배 가량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니그린은 배추의 특유의 향과 매운 맛을 내는 성분으로 시니그린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결장암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시니그린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글루코시놀레이트라는 효소는 방광암, 유방암, 대장암 등을 예방하는 강력한 항암물질이다.
농업기술원은 잎사귀 부위별로 시니그린 함량을 조사한 결과 잎줄기보다는 잎가장자리가 높았고, 엽신의 상단 부위(41.9㎎)보다는 엽신 하단부(60.7㎎)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녹색이 짙은 겉엽보다 노란부위, 즉 속잎 부위에서 시니그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며 “보통 보쌈용 배추로 속이 노란 것을 선호하고 있는데, 시니그린 함량으로만 본다면 보쌈용 배추 소비행태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지난해부터 100여종의 기능성 쌈채소 유전자원을 수집한 후 외형적인 생육특성 이외에 쌈 채소 종류마다 특유의 기능성물질을 분석하고 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