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산대란’ 이후 개선상황 집중 점검
농협중앙회와 농협은행에 대해 금융당국이 고강도 종합검사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4일 “이달 중 농협은행을 종합검사할 계획이다. 기간은 한 달 이상 소요될 될 것이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4월 농협을 통한 거래 기록을 저장하는 전산 서버의 메모리가 완전히 삭제되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전산장애가 연발한 점을 고려해 전산 분야의 문제점을 집중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검사에서 금감원은 농협은행 뿐 아니라 농협(중앙회) 전산 시스템의 안정성, 개선 요구 사항 이행 정도 등을 자세히 들여다볼 계획으로 알려졌다.
농협은 지난해 4월 전산 대란으로 금융 서비스를 일절 이용하지 못한 고객 등에게 71억원의 보상금을 지급하고 2015년까지 5천175억원을 IT 부문 개선에 쓰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한 달만인 5월에 인터넷뱅킹, 여신심사, 대출실행 등 영업점 창구 업무가 마비됐고 12월에도 체크카드 결제 서비스가 마비되는 전산 장애가 잇따랐다.
금감원은 이번 검사에서 전산 분야뿐만 아니고 지배구조 개선, 경영 투명성 등도 살펴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은행이 중앙회에서 장기간 경영 간섭을 받아왔으므로 신경분리 후에도 그런 관행이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금융 당국은 의심하고 있다. 농협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적정성도 검사 대상이다. 금감원은 농협은행의 PF 연체율이나 고정 이하 여신비율이 시중은행보다 높은 점을 주목하고 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