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발효… 해외 중저가 브랜드 국내시장 역습
유럽연합(EU) 및 미국과의 FTA 발효에 따라 중저가 브랜드 화장품이 대거 유입되면 인천지역 중견 화장품 제조업체들의 피해가 불가피해 시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송도테크노파크는 10일 ‘화장품산업 FTA 활용전략’이란 주제의 정책연구 논문을 통해 한·미 FTA 및 한·EU FTA 발효로 인천의 화장품 생산액은 앞으로 5년 간 연평균 28억6천만원씩 모두 140여억원의 손실을 볼 것이라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한·미 FTA 및 한·EU FTA 발효로 EU산 화장품류 18개 품목은 5년 안에, 미국산 화장품류 14개 품목은 10년 안에 현행 6.5~8% 수준의 수입관세가 없어진다.
이 같은 관세철폐를 앞세워 세계 최고의 브랜드 파워를 갖춘 유럽과 미국 화장품 업체들과 저렴한 가격의 매스 브랜드가 국내를 공략하면 중저가 화장품을 생산하는 인천지역 중견업체들이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전체 화장품류 수출입 시장에서 2억3천341만 달러의 적자를 봤다. 반면 인천은 7천182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으나 관세철폐로 인천의 화장품 생산액은 연평균 28억6천만원 정도씩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송도테크노파크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표준화된 국제인증(ISO GMP) 기준 생산공장 건립, 중소화장품 판매점의 점포 현대화, 중소화장품 공동물류유통센터 건립 등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