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단체 “한·미FTA 이어 또…생존권 수호차원 반대 투쟁”
정부가 한·EU, 한미FTA에 이어 한중 FTA까지 협상을 추진하면서 농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최대 농산물 수입국인 중국과 FTA를 체결할 경우 중국산 농산물이 대거 들어와 국내 농업의 기반을 크게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도내 농민단체 등에 따르면 정부가 조만간 한중 FTA 협상을 추진키로 하면서 농민단체 등이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농민단체는 중국과의 FTA 추진은 정부가 한국 농업과 농업인을 포기하겠다는 것이라고 규정하며, 한·중 FTA 협상 중단을 강력 촉구하고 있다.
특히 농수축산연합회 소속 10개 농민단체는 “한·중 FTA가 체결될 경우 농어업생산액이 크게 감소하는 등 큰 피해가 예상돼 한국 농어업이 뿌리째 흔들릴 것”이라며 “이런 가운데 정부의 한·중 FTA 개시선언은 국내 농어민 생존권 포기를 선언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농수축산연합회 관계자는 “정부가 중국과의 협상개시를 선언한 2일을 시작으로 한·중 FTA 추진 반대를 위한 대정부 투쟁을 선포한다”며 “한국 농어업의 총체적 붕괴를 초래하게 될 한·중 FTA를 반드시 막아냄으로써 농어민 생존권과 국민건강권을 반드시 지켜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도 ‘한·중 FTA 협상을 즉각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전농은 성명서를 통해 “중국과 FTA를 체결하겠다는 것은 정부가 농업과 농민을 포기하겠다는 선언”이라며 “한·미 FTA와 한·유럽연합(EU) FTA로 인한 축산분야 피해에 이어, 한·중 FTA로 과채류와 시설채소까지 피해를 입게 되면 한국농업의 연쇄붕괴가 자명하다”고 비판했다.
또 “직접적 이해당사자인 농민, 영세상인들과의 논의가 없었음에도 정부가 일방적 협상개시를 선언하고 있다”며 “농민들을 비롯한 국민들의 합의 없는 일방적 한·중 FTA 추진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