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림산업 부도에 줄줄이 ‘풍림박산’?

상위 150개 건설사중 30개사 워크아웃·법정관리…부도 우려업체 실명까지 거론

풍림산업이 최종부도처리되면서 건설업계에 또다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풍림산업 부도로 인해 가뜩이나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견 건설업체들이 자금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풍림산업 다음으로 부도가 우려되는 업체의 실명이 거론되는 등 건설업계에선 뒤숭숭한 소문이 나돌고 있다.

A건설의 경우 지난해 1천700억대 적자를 기록하며 자본잠식상태 빠져 채권은행의 추가 도움 없이는 회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미분양 아파트 할인과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을 통해 정상화를 시도했으나 대규모 손실을 면치 못하고 적자로 돌아섰다.

A건설뿐만 아니라 지난해 수천억원대의 적자를 낸 중견 건설업체들이 적잖다는 게 문제다.

현재 상위 150개 건설사 가운데 30개사가 워크아웃을 진행 중이거나 법정관리를 신청한 상태다.

도내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중견사들이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침체한 주택 시장과 금융권의 돈줄 죄기 관행 등에서 획기적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는 한 중견사들의 도미노식 부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금융권의 무리한 대출 회수 움직임이 가시화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는 모습이다.

금융기관이 대출금 조기회수에 나설 경우 멀쩡한 기업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그동안 자체 구조조정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는 건설업체들이 은행에서 상환 압박이 들어올 경우 더이상 버티기 힘들다”며 “특히 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건설업체들이 위험에 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건설ㆍ주택경기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정치권의 과감한 결단과 선택이 없이는 현재의 ‘건설업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공공 부문 건설 투자 확대, 금융당국의 융통성 있는 PF운용,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