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점 2곳중 1곳이 ‘가맹점’…동반성장 실종·영세상인 생존 위협
2년간 같은 장소에서 빵집을 운영해온 의왕시 A 빵집은 최근 5년 사이 인근에 프랜차이즈 제과점 4곳이 들어서면서 매출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하루 50만원 안팎의 소득을 올리며 직원 2명을 뒀었지만, 최근에는 일 매출 20만원이 채 되지 않으면서 주인 내외만 일하고 있다.
가게세와 재료 값 등을 빼고 나면 하루 순이익은 5만원 이하로 인건비도 건지기 어렵다. 직접 빵집에 와서 케이크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마케팅을 벌이고 있지만, 프랜차이즈 제과점과 경쟁하기는 역부족이다.
수원시 B 빵집도 상황은 마찬가지로 최근 5년간 빵 값을 동결했다. 한 건물 건너 프랜차이즈 제과점이 두 곳이나 있는데다 도보로 5분 거리에 대형마트까지 있어 경쟁력을 갖추려면 가격을 낮추는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B 빵집 업주 임모씨(48)는 “평생 빵만 만들던 사람들이 대형 체인점에 밀리면서 경비 등 전혀 상관없는 일을 하고 있다”며 “가맹점을 차릴 비용도 없고, 빵집을 그만두면 할 수 있는 일이 없어 어떻게는 싸게 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제과점 등이 체인점화 되어 가면서 제과점 2곳 중 1곳이 프랜차이즈 업체로 조사되는 등 개인이 운영하는 제과점이 설 곳을 잃고 있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통계청은 전체 산업에 대한 전수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하고 ‘2010년 기준 경제총조사 결과’를 지난 29일 발표, 2010년 12월31일을 기준으로 전국 소매업 사업체 61만6천500개 중 6.1%가 프랜차이즈에 가입돼 있다. 이 중 제과점을 비롯한 피자·햄버거·치킨 가게 등 기타 음식점 10만여 곳 중 44.7%인 4만6천여 곳이 프랜차이즈 체인점으로 개인이 운영하는 곳은 절반에 그치고 있다.
제과업계는 프랜차이즈 업체의 무분별한 사세 확장이 개인 상권을 고사시키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관협 대한제과협회 경기지회장은 “프랜차이즈업체가 마구잡이식으로 점포를 늘리면서 개인 제과업자는 물론, 체인점 가맹주들 까지 피해를 겪는 일이 많다”며 “대기업이라면 보다 넓은 차원에서 동네 상권과 공존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프랜차이즈 제과업계 관계자는 “프랜차이즈업체 차원에서도 골목상권과 동반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가맹점을 확장하는 데 있어 이를 고려한 세부적인 기준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