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동남아로 활로 뚫는다

인도네시아 등에 냉연·강관업체-연간 열연강판 등 장기공급 계약

현대제철이 동남아시아 시장을 적극 공략하며 내수시장 불황 타개와 철강 무역수지 개선이라는 두마리 토끼 사냥에 나섰다.

 

18일 현대제철 인천공장에 따르면 지난 17일 박승하 현대제철 부회장이 인도네시아를 찾아 현지 냉연·강관업체와 연간 열연강판 34만t을 장기 공급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어 18일에는 싱가폴의 봉형강 업체를 방문해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현대제철은 내수시장 불황을 타개하고자 적극적으로 수출 확대에 나서고 있으며 건축구조용 H형강, 극후 H형강 등 신기술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최근 주 철강수요산업인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중국, 일본 등도 수출시장에 뛰어들어면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세청 통계를 보더라도 지난해 우리나라는 철강재 2천909만t을 수출하고 2천312만t을 수입해 총 83억3천80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으나 대중(對中) 철강 무역적자는 43억4천300만달러, 대일(對日) 철강 무역적자는 48억7천700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제철은 6%대의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을 지속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경제강국인 싱가폴 시장에 교두보를 마련하고 철강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동남아시아 철강사들과 장기 공급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빠르게 향상되고 있는 현대제철의 품질경쟁력으로 승부를 걸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현대제철연구소를 중심으로 5년에 걸쳐 자동차용 열연강판과 조선용 후판 기술을 개발해왔다”며 “자동차용 외판 전 강종, 60~80K 자동차 고강도강 등 열연강판 163종, 후판 100종 등 263종의 제품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장용준기자 jyjun@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