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외쳐대면서 지원정책은 ‘흉작’

이주 도시민, 경제적 지원 원하지만… 정보제공·영농교육 치우쳐

귀농·귀촌의 가장 큰 실패 원인은 경제적 문제지만 정작 지원시책은 도시민의 농어촌 유치 자체에만 집중되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귀농 정책이 겉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농업인재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농림수산식품부가 지원한 각종 귀농·귀촌 교육 수료생 1천11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은 농어촌 이주·정착 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영농기반 마련(28.4%), 사업자금 조달(26.1)을 꼽았다.

 

또 귀농·귀촌 후 정착하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재이동한 경우 실패 이유로 일자리 부족(34.6%), 부족한 소득(26.9%), 사업자금 조달(15.4%) 등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항목의 응답률이 높았다.

 

하지만 귀농·귀촌 시 지원받은 정부나 지자체의 시책은 영농기술 교육이 52.7%로 가장 많았으며 전원주택단지 조성(1.4%), 임시 거처 마련(2.3%), 농지 알선(2.3%), 지역 내 일자리 알선(2.7%) 등의 경제적 지원은 미미했다.

 

이처럼 농어촌 이주 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도시민이 많지만 지원책은 정보제공이나 교육 중심으로 치우치면서, 귀농한 뒤 안정적으로 경제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것이 실패를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제라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무조건 많은 도시민들을 농촌으로 이주시키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며 “경제적인 지원과 함께 귀농·귀촌인구에게 농촌에 부족한 보육, 교육, 의료 분야의 사회적 활동을 병행토록 해 귀농인과 지역사회가 상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